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일대에 제3 국립현충원 조성 사업이 추진중이다. 독자 제공
서울과 대전에 이어 경기도 연천에 제3의 국립현충원을 조성하는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30일 경기도 연천군과 김성원 자유한국당 의원의 설명을 들어보면, ‘국립연천현충원’ 지정을 위한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과했다. 개정안은 다음달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 6일 국회 본회의에 정식 안건으로 상정된다.
국립묘지법 개정안은 현행법의 국립묘지 종류에 ‘국립연천현충원’을 신설하는 것으로, 법안이 통과되면 서울 동작동과 대전에 이어 3번째 국립현충원으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앞서 연천군은 신병교육대가 이전한 신서면 대광리 일대 124만㎡에 국비 980억원을 들여 총 10만기의 국립 제3현충원 유치 제안서를 국가보훈처에 제출한 바 있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2일 경기·강원권 ‘국립 제3 현충원’(가칭) 부지를 연천군으로 선정했다. 국가보훈처는 90여만㎡ 부지에 1차로 5만기 규모로 국립현충원을 조성한 뒤, 필요에 따라 10만기까지 확장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충원의 형태와 시설규모 등은 부처간 협의와 실시설계 등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연천군은 국립현충원이 조성되면 침체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천군 관계자는 “국립현충원 유치가 확정되면 열쇠전망대와 태풍전망대, 철원 노동당사 등과 연계해 관광 프로그램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성원 의원은 “서울현충원과 대전현충원에 연간 300만명 가량 방문하는 점을 고려할 때, 연천 국립현충원이 자연친화적 공간으로 조성되면 전국에서 많은 방문객이 찾아 연천군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