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철호 울산시장이 비정규직 용역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 협약에 서명한 뒤 정규직 전환을 앞둔 용역노동자 대표들과 환담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지난 7월20일 이전부터 울산시 청사에서 청소·경비 등의 일을 해온 비정규직 용역노동자들이 새해부터 사실상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울산시는 17일 시청 상황실에서 송철호 시장과 용역노동자 대표 간의 '노사 상생협력 협약식'을 열었다. 협약에 따라 시는 그동안 용역업체를 통해 간접 고용해온 청소·경비·민원안내·시설관리·조리 등 5개 직종의 용역노동자 122명 가운데 68명을 정규직(공무직)으로 직접 고용하게 된다. 나머지 54명은 정년(만 60살)을 초과한 이들로, 정규직 전환이 불가능해 기간제 채용을 통해 3~5년의 추가 근무기간을 보장하기로 했다.
정규직 전환 대상자는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난 7월20일 이전부터 울산시 청사에서 상시 근무해온 용역노동자들이다. 이들은 새해 1월부터 용역업체와 계약이 끝나는 시점에 맞춰 별도 채용절차에 따라 정규직으로 채용된다. 시는 청소·조리·경비 등의 노동자들이 고령화된 점을 고려해 정규직으로 전환돼도 근무기간이 짧은 만 52살 이상 노동자에 대해 나이별로 1~5년의 정년 뒤 추가 근무기간을 보장하기로 했다.
시는 또 7월21일 이후부터 용역계약직으로 근무해온 비정규직 노동자 60여명에 대해서도 업무 특성 등을 고려한 사전심사제를 통해 추가로 정규직 전환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협약은 시가 지난 8월부터 용역노동자들과 22차례 실무협의를 거친 뒤 지난 10일 '노·사·전문가 협의회'에서 최종 결정했다.
송철호 시장은 "시와 용역노동자 간 소통과 공감을 통해 지혜를 모아 합의의 결실을 보았다. 앞으로도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고 따뜻한 공동체와 노동존중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