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앱 개발에 한 해 평균 128억을 쓰지만, 이렇게 개발된 앱 10개 중 7개는 이용자가 적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행정안전부는 ‘2018년 공공앱 성과측정’(2018년 8월 기준)을 해 중앙 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에서 운영 중인 공공앱 771개 중 442개만 유지하고, 139개를 폐기하기로 했다. 나머지 190개는 개선할 예정이다. 정윤기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이용이 저조하고 서비스 업데이트가 원활하지 않는 등 무분별하게 개발된 뒤 방치된 공공앱을 확실히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는 누적 내려받기(다운로드) 수, 이용자 수, 사용자 만족도, 업데이트 최신성 등에 근거해 공공앱 성과측정 지표를 만들어 70점 만점에 50점 이상을 넘은 앱만 유지하기로 했다. 40점 미만은 폐기하고 40점 이상 50점 미만은 개선 또는 변경한다. 행정안전부는 이런 방식으로 2016년 1300개였던 공공앱을 2년 사이 40% 줄였다.
정부의 성과 측정 지표에서 2년 연속 70점 만점을 받은 앱은 한국고용정보원의 채용정보 구직활동 서비스 ‘워크넷’, 한국관광공사의 위치기반 국내 관광정보 서비스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도로공사의 실시간 교통상황 서비스 ‘고속도로 교통정보’ 등이다.
정부가 민원 서비스를 위해 개발하는 공공앱은 들인 비용에 견줘 성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한 해 동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앱을 새로 구축하기 위해 쓴 예산은 127억7300만원으로 이 중 유지보수비만 23억200만원이 들었다. 하지만 유지율은 29.7%에 불과하다.
정부는 불필요한 공공앱을 줄이는 대신 평균 이용자 수와 내려받기 수를 높이는 방식으로 정비하겠다는 목표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개발한 공공앱 수는 2016년 1265개에서 올해 771개로 감소 추세다. 올해 공공앱의 평균 내려받기 수는 27.4만건으로 지난해 15.6만건에 견줘 57% 증가하고, 평균 이용자 수도 같은 기간 3.4만명에서 9.4만명으로 170%로 증가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