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운데)가 지난 8월 경기도 양주시와 동두천시 사이의 축사 악취 갈등 현장을 찾아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축사 악취를 두고 15년째 이어진 경기도 양주시와 동두천시 사이의 갈등이 내년부터는 풀릴지 주목된다.
경기도는 동두천 아파트 밀집 지역의 악취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양주시 축사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폐업 보상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양주 축사 밀집 지역의 돈사 9곳 중 악취가 심하고 이전·폐업에 찬성하는 돈사 3곳을 대상으로 우선 폐업 보상을 한다.
두 지방정부 간 악취 갈등은 축사 밀집 지역인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에서 신천을 사이에 두고 맞은 편인 동두천 생연동·송내동 일대에 2003년부터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시작됐다.
하패리에는 현재 돈사 9곳(사육두수 돼지 8700 마리), 우사 10곳(소 664 마리), 계사 2곳(닭 4만5천 마리) 등 축사 21곳과 음식물 처리업체 2곳이 있다. 신천을 사이에 두고 2㎞가량 떨어진 동두천 생연·송내지구에는 동두천시 전체인구 9만6천명의 40%가량인 4만여명(1만5천 가구)이 거주한다.
동두천 주민들은 양주 축사 밀집 지역에서 발생한 악취 때문에 한여름에도 창문을 열지 못하는 등 고통을 겪어왔다. 주민들은 악취문제 해결을 지속적으로 호소해왔지만 악취 발생지역(양주)과 피해지역(동두천)이 달라 해결방안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2009년 경기도가 나서 양주시, 동두천시가 모두 참여하는 3자 행정협의회를 구성해 문제 해결에 나섰으나 실패했다. 2012년에는 도비 40억원과 양주·동두천시 시비 각 8억원 등 총 56억원의 예산을 지원해 축사 11곳의 폐업 보상을 했다. 그러나 여전히 축사 악취 갈등이 해결되지 않았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5월부터 전문가와 공무원이 참여하는 ‘축사 악취 개선 테스크포스(TF)’를 꾸려 해결방안을 찾아 이번에 폐업 보상 합의를 이끌었다. 경기도 관계자는 “축사 폐업 보상 추진 합의로 악취 발생이 크게 줄 것으로 기대한다. 남아있는 축사에 대해서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추진 중인 악취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축사별 맞춤형 악취 저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