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독도연구소 등 전문가들 “꾸준한 연구·국제연대 필요” 강조
경북도와 대구경북연구원은 독도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독도에 대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14일, ‘독도가치의 재조명’이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독도의 국제법적 지위문제’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메릴랜드대 김필규교수는 “국제법적 측면에서 영유권 문제를 볼 때 독도는 울릉도의 부속도서인 한국의 고유영토로 512년부터 1905년 일본에 강제편입될 때까지 발전과 선점에 의해 한국이 효과적으로 지배해왔음이 명확하며, 이 기간 동안 어떤 국가도 한국보다 독도에 대해 더 우세한 주권행사를 했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독도의 날 조례안을 통과시키고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일본이 미·일 신안보동맹을 통해 동북아에서 미국의 전략적 파트너로 유엔 안전보장 이사국 진출을 꿈꾸고 있는 상황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며 한국 정부의 올바른 대응을 촉구했다.
황정환 경주대 울릉학 연구소장은 ‘울릉도와 독도 등 학술연구를 통한 울릉학 연구’에 대해, 김화경 영남대 독도연구소장은 ‘독도연구소의 설립목적 및 역할’에 대해 각각 발제했다.
이의근 경북지사는 환영사를 통해 “독도와 관련한 일본의 되풀이되는 망동에 대해 감정적, 즉흥적인 대응 방식에서 나아가 논리적 학문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북아의 평화와 독도의 가치’라는 기조 강연에서 조중표 바른역사 기획단 부단장은 “동북아의 진정한 평화와 독도망언 대처를 위해 객관적 사실 규명과 올바른 역사인식 확대가 선결과제”라며 “지속적인 연구와 국제 양심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인식의 확산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영남대 독도연구소를 비롯한 관련단체 독도 전문가와 행정기관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 연구기관별 발표와 함께 열띤 토론을 벌였다.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