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립합창단·교향악단 운영 정상화를 위한 양주시민대책위원회가 지난 9일 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예술단 해체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양주시민대책위 제공
경기 양주시가 10년 넘게 운영해온 시립 합창단과 교향악단을 지난해 12월 해체하자 해당 예술단원들과 양주지역 노동계와 시민사회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시는 “예술단 운영은 이미 종료된 사업”이라며 “추경을 편성할 계획이 없다”고 대화와 협상의 여지를 닫아 논란은 더욱 격화하는 모양새다.
양주시립예술단 노조는 “양주시가 예술단을 해체한 것은 노조를 결성했기 때문”이라며 “시장 측근인 직원이 지난달 말 해고를 항의하는 단원을 만난 자리에서 ‘민주노총을 빼고 비노조원 포함한 단원들만 온다면 대화로 풀어갈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이성호 양주시장은 지난달 26일 예술단원, 노조 집행부 등을 만난 자리에서 ‘양주시에 무기직 노조가 있었는데 해산하고 지금은 시와 잘 지내고 있다’는 발언을 했다고 노조는 전했다.
양주시립예술단 노조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소속으로 지난해 9월 설립됐다. 조합원 수는 전체 예술단원의 절반가량인 31명이다. 김민정 노조 지회장은 “지휘자의 독단적인 외부행사 동원, 폭언 등을 멈추게 해달라고 시에 여러 차례 요구했으나 시정이 되지 않고 오히려 강등, 연습 배제 등 불이익이 잇따라 노조를 결성하게 됐다”고 말했다. 노조가 설립되자 양주시의회 황영희, 김종길 의원 등이 본회의에서 “노조를 만든 곳에 예산을 줘야 하느냐”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한 양주시립 예술단원이 예술단 전체 대화방에 올린 글.
양주시의회는 지난달 18일 시립 합창단·교향악단 운영예산 7억5천만원을 전액 삭감했고, 시는 예술단원 전원에게 해촉을 통보했다. 이로써 2003년과 2009년에 각각 설립된 양주시립합창단(25명)과 시립교향악단(35명)은 일자리를 잃게 돼 60명의 예술단원이 새해 벽두부터 거리로 내몰렸다. 이들은 모두 비정규직으로 월급 50만~60만원을 받으면서 10년 넘도록 활동해왔다.
양주지역 노동계와 시민사회는 시민대책위원회를 꾸려 “일방적인 예술단 해체와 단원 해고를 취소하고, 예술단 운영을 정상화할 것”을 시에 촉구하고 있다. 양주시 관계자는 단원들이 노조를 결성한 탓에 합창단·교향악단을 해체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시립 합창단과 교향악단을 해체한 것은 의회에서 사업효과와 재정 등을 감안해 운영예산을 삭감했기 때문이지 노조를 결성했기 때문이 아니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