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후 서울 중구 청계천 관수교 일대에서 열린 백년가게 수호 국민운동본부 출범식에서 발언을 경청하는 청계천 공구상가 상인들 위로 ‘을지유람’ 안내판이 붙어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을지로 인근의 재개발사업으로 공구상, 맛집 등 상인들이 철거 위기에 처한 것에 대해 박원순 서울시장이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시민사회는 “몇몇 유명 상점만 보전하는 형식적 재검토는 안 된다”며 근본적인 개선책을 마련할 것을 시에 요구했다.
18일 경실련 도시개혁센터는 ‘도심산업 생태계와 역사문화가 보전되는 재생으로 전환하라’란 제목의 성명을 내고 “서울시는 일부 유명한 상점 몇 곳을 남기는 형식적 재검토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도심 산업 생태계와 역사와 문화를 살릴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도심 재생 정책을 제시하라”고 서울시에 요구했다. 이어 이들은 “토건세력의 수익사업으로 전락한 재개발사업의 특혜를 걷어내 주민 중심의 재생정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선하라”고 지적했다.
이제선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운영위원장은 “이미 많은 상가가 철거로 뿔뿔히 흩어지거나 폐업한 상황에서 박 시장의 뒤늦은 재검토 발표는 아쉽다”며 “시의 정책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과거 개발 관행대로 사업을 방치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현재 철거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세운 3-1, 3-4·5구역의 상인 재정착 대책이 실효성이 없다며 대책마련 요구했다. 경실련의 조사에 따르면, 세운 3-1, 3-4·5 구역의 사업 진행 이후 임차상인의 재정착률은 15%에 그쳤다. 임시영업장은 20% 상인에게만 제공됐다.
남은경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팀장은 “도심 산업의 특성상 연계된 사업장 사이의 근접성과 협력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산업 생태계 보전의 핵심사항”이라며 “이를 위해선 상인들이 집단적으로 이주할 수 있는 임시영업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