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금융센터 모습. 한국거래소,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남부발전 등 공공기관 10여개와 시중은행 등이 입주해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시책에 따라 부산으로 이전해온 공공기관 직원의 자녀 절반 이상이 부산이 아닌 다른 곳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부산에 있는 9곳의 공공기관에서 받은 ‘직원 자녀 고교 재학 현황’을 보니, 부산의 고교에 다니는 직원 자녀는 268명 가운데 113명(43%)에 그쳤다고 21일 밝혔다. 기관별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38명 가운데 8명(21%)으로 가장 낮았고, 한국예탁결제원이 44명 가운데 12명(27%), 영화진흥위원회는 7명 가운데 2명(29%), 주택도시보증공사의 경우 33명 가운데 11명(33%)이 부산 소재 고교에 다니고 있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1명 가운데 6명(55%), 한국남부발전은 56명 가운데 38명(68%), 영상물등급위원회는 7명 가운데 5명(71%)으로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았다. 2017년 이전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제외한 나머지 8개 기관은 부산으로 이전한 지 평균 6년이 넘었지만, 직원 자녀 중 다른 지역에서 고교를 다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고교생 자녀를 둔 많은 직원이 대학 진학 등을 고려해 수도권을 포기하지 못하고 자녀와 떨어져 살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산 이전 공공기관의 한 직원은 “대부분 공공기관은 특정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일하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순환근무제를 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공기관 직원들이 가족 동반 이주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점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