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정선에 조성된 가리왕산 활강경기장. 산림청은 전면 복원을 명령했지만, 정선군 등은 곤돌라 등 일부 시설 존치를 요구하고 있다. 강원도 제공
복원 문제를 놓고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정선 가리왕산 알파인경기장 문제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산림청과 알파인경기장철거반대범군민투쟁위원회(이하 투쟁위)는 23일 “경기장 복원 문제를 논의할 사회적 합의기구를 꾸려 이달 안에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무총리실 산하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구성될 사회적 합의기구에는 산림청과 투쟁위뿐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강원도, 환경단체 등 이해 당사자가 모두 참여한다.
평창겨울올림픽 당시 알파인스키 활강·슈퍼대회전 경기가 열린 가리왕산 알파인경기장은 당초 올림픽이 끝난 뒤 복원을 전제로 조성됐다. 하지만 대회가 끝난 뒤 올림픽 유산 활용 등을 이유로 지역 주민들이 곤돌라와 관리도로 등 일부 시설 존치를 요구하면서 가리왕산 관리 주체인 산림청 등과 갈등을 빚고 있다.
산림청은 이달 말까지 강원도가 복원 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에 나서겠다고 밝혔고, 주민들은 지역 161개 사회단체로 구성된 투쟁위를 꾸려 산림청이 행정대집행에 나설 경우 가리왕산에 인간 띠를 둘러 온몸으로 막겠다고 벼르는 등 물리적 충돌까지 우려됐다.
사회적 합의기구 구성은 양쪽이 한발씩 물러서면서 성사됐다. 지난 20일 최문순 강원지사가 먼저 사회적 합의기구 구성을 양쪽에 제안하면서 강원도는 합의 결과를 따르겠다고 했다. 하지만 갈등 당사자인 양쪽은 사실상 불참 의사를 밝혔었다. 당시 투쟁위는 “일부 시설 존치를 포함하지 않은 합의기구는 의미가 없다”며 불참을 선언했다. 산림청도 전면 복원을 전제로 해야 한다며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 22일 오후 김재현 산림청장이 정선에서 열린 범군민 투쟁 결의대회에 참가, 유재철 투쟁위원장을 만나면서 일단 대화 테이블이 마련됐다.
이달 말까지 강원도가 알파인경기장 복원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에 나서기로 했던 산림청도 사회적 합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집행을 보류할 계획이다.
유재철 투쟁위원장은 “알파인경기장은 반드시 개최지역에 올림픽 유산으로 남겨줘야 한다는 것이 주민들의 요구다. 하지만 산림청은 엄청난 비용을 들어가는 완전 복원만 고수하고 있다. 사회적 합의기구에 참가해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현재로썬 각자의 입장이 다르다. 하지만 일단 사회적 합의기구에 참여해 대화로 이 문제를 풀어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