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양주시가 시립 예술단원을 일방적으로 해고한 것은 부당 해고란 지적과 함께 이들의 복직을 촉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3일 양주시 누리집에는 시와 시의회가 시민의 동의도 없이 시립예술단을 해체한 것에 대한 불만과 재고를 요청하는 글이 잇따랐다. 시민 윤아무개씨는 “10년의 역사를 가진 예술단을 시의원과 공무원들이 시민의 의견도 묻지 않고 하루 아침에 독단적으로 처리한 점이 황당하고 이해할 수 없다. 하물며 그 이유가 노조 탄압 때문이라면 현 정권의 기조와도 분명히 역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 이미영씨는 “서울에 살지 않아도 수준 높은 공연을 볼 수 있어 너무 자랑스러웠는데 해체소식을 듣고 크게 실망했다. 시민에게 평안과 행복감을 전해주는 예술단을 해체한 것이 누구의 결정이고 이유가 뭐냐”고 물었다. 노아무개씨는 “양주시 의원이 예술단의 노조 결성을 이유로 전액 예산삭감을 했다는 게 충격적이다. 시민 호응이 적었던 것은 시청 공무원의 무능과 소통 부재를 탓해야지 10년간 유지돼온 예술단을 탓할 문제가 아니다”고 했다.
앞서 정의당 경기도당은 지난 22일 성명을 내어 “양주시의 위법행정으로 60명의 예술노동자들이 부당 해고되어 새해 벽두부터 거리로 내몰렸다. 사과하고 반성해도 모자랄 판에 양주시는 여전히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의당은 “지난해 12월26일 양주시는 시립합창단과 시립교향악단을 31일자로 해체하고 단원 60명을 해고한다고 통보했다. 근로기준법상 해고는 원칙적으로 한 달 전에 해야 되고 그렇게 못 했다면 한 달 치 임금을 줘야 한다. 무엇보다 정당한 사유가 있어야 해고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양주시는 (의회에서) 예산이 삭감되어 운영이 불가능하다며 해촉 통지서 한 장으로 60명 예술단원을 해고했다. 또 황영희 시의원의 반노동적 발언, 정덕영 시의원의 책임전가 발언을 비롯해 양주시의회의 잘못도 크다”고 지적했다.
앞서 양주시의회 황영희 의원은 “노조나 결성한다는 그런 사람들한테 (예산이) 왜 필요해요?”라며 예술단 예산 삭감을 요청했고, 정덕영 시의원(예결산특별위원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예산 삭감의 이유로 “단원은 60명이 넘는데 관객은 100명도 안 됐다는 게 문제”라고 말한 바 있다.
양주시의회는 지난달 18일 시립 합창단·교향악단 운영예산 7억5천만원을 전액 삭감했고, 시는 예술단원 전원에게 해촉을 통보했다. 이로써 2003년과 2009년에 각각 설립된 양주시립합창단(25명)과 시립교향악단(35명)은 일자리를 잃게 돼 60명의 예술단원이 새해 벽두부터 거리로 내몰렸다.
양주시 관계자는 “시립 합창단과 교향악단 운영을 위해 예산을 세우고 더 많은 공연을 제공하고자 노력했으나 운영 예산이 의회에서 전액 삭감돼 불가피하게 운영사업이 종료됐다. 현재로선 예술단 재운영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양주시립합창단·시립교향악단 운영정상화를 위한 양주시민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양주시청 앞에서 촛불집회를 열고 예술단원 60명 집단해고 철회와 정상화를 촉구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