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광화문 광장 설계 공모에서 경쟁한 한 설계안 조감도. 오른쪽의 정부서울청사 앞은 광장이 되고, 뒤쪽으로 6차로 도로가 지난다. 서울시.
서울시가 지난 21일 광화문광장 국제설계공모전 당선작을 발표한 데 대해 행정안전부가 “수용이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광화문 광장 조성 문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서울시와 행안부는 24일 만나 “성공적인 광화문 광장 조성을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고 합의했다. 그러나 서울시의 설계안에 따르면, 경비대 등 정부서울청사의 부속 건물 4동을 철거해야 하고, 앞마당의 주차장 출입구도 포기해야 해 행안부가 이를 수용할지는 알 수 없다.
이날 서울시 광화문광장추진단과 행정안전부 서울청사관리소의 공무원들은 지난 21일 발표된 광화문광장 설계 당선작의 정부서울청사 부지 포함 문제를 논의했다. 이 회의 이후 서울시는 보도자료를 내어 “두 기관의 공감대를 재확인했다. 정부서울청사 일부 땅과 건물을 포함하는 문제는 시설 설계 과정에서 서로 의견을 조율해 해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강옥현 서울시 광화문광장추진단장은 “이번 당선작의 청사 내 공간 활용 계획은 당선자의 창의적 제안으로 아직 확정된 계획이 아니다. 행정안전부와 적극 협의해 연말까지 최종 설계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반대 의견을 표명했던 행안부는 여러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박민식 행안부 서울청사관리소 관리과장은 “서울시와 쉽게 합의를 할 수 있다고 말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핵심 문제는 서울시가 발표한 새 광화문 광장 설계안에서 신설되는 6차로의 우회도로가 정부서울청사 터의 서쪽과 남쪽을 상당 부분 침범한다는 점이다. 새 우회도로를 계획대로 설치하면 청사 서쪽의 경비대, 방문안내실, 어린이집, 남쪽의 조경사무실 등 4동의 건물을 침범하게 되고, 따라서 이 건물들을 철거해야 한다. 현재 청사 서쪽 도로는 왕복 2차로, 남쪽 도로는 4차로에 불과해 6차로 도로를 내기 위해선 정부서울청사 쪽을 침범하는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올해 말까지 협상을 통해 행안부의 양보를 얻어내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확장되는 도로로 인해 철거되는 건물들을 대체하기 위해 인근 건물이나 부지 등을 매입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행안부는 난색을 감추지 않고 있다. 정부청사 뒤쪽의 부속 건물들을 뜯어내야 하는데다, 앞마당까지 모두 내줘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새 광화문 광장 설계안은 정부서울청사의 앞마당을 사실상 광장에 포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정부서울청사 정문 쪽으로는 차량이 통행할 수 없고, 앞마당의 주차장 출입구도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은 정부청사의 보안이나 경호, 의전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된다.
행안부가 이런 이유를 들어 새 광화문 광장 설계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현재의 당선작은 그대로 실현되기 어렵다. 광화문 앞 역사광장 설계안을 수정해야 할 가능성도 있다. 이진수 행안부 정책보좌관은 “서울시와 합의점을 찾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정부청사의 기능을 유지, 관리하는 게 우리의 임무다. 서울시나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적인 부분에서 고민을 해보겠다”고 말했다.
김미향 채윤태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