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울산본부는 31일 울산시청에서 광주형 일자리 협약 체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31일 광주시와 현대자동차의 ‘광주형 일자리’ 협약 체결에 대해 “헌법이 보장한 노동3권을 파괴하고, 자동차산업을 위기로 내모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도 이날 대의원 이상 간부 600여명이 파업에 돌입한 뒤 협약식이 열리는 광주시청을 항의 방문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이날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광주형 일자리 협약에는 헌법이 보장한 노동3권을 파괴하는 ‘임단협 5년 유예조항’이 그대로 유지되었고, 자동차산업이 공급과잉 상태에서 새로운 완성차 공장 건설은 자동차산업 전반의 위기로 확산된다는 우려 역시 무시됐다”고 밝혔다. 이어 “자동차 부품사들이 한계상황에 몰려 줄도산과 구조조정 위기에 처해 있는 현실을 외면한 채, 총선을 앞둔 정치공학적 논리로 강행된다면 문재인 정부의 최대 정책 실패로 귀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또 “문재인 정부는 좌초된 광주형 일자리를 살리기 위해, 세 차례나 승인 보류된 현대차그룹의 숙원사업인 삼성동 신사옥(GBC) 조기 착공 인허가를 단축 승인해주었고, 17일 울산을 방문해 대대적인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며 현대차 밀어주기 선심 사업을 진행했다”며 “광주형 일자리는 정권과 자본의 전형적인 주고받기 거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자동차산업과 노동자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광주형 일자리 저지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금속노조 현대차지부도 이날 “광주형 일자리 협약 체결은 문재인 정부의 정경유착 노동 적폐 1호로 규정한다. 이의 철폐를 위해 민주노총, 금속노조, 기아차 노조와 연대해 정부와 회사를 상대로 강력히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글사진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