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탄은행 관계자들이 31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연탄가격 동결을 촉구하고 있다. 연탄은행 제공
“문재인 대통님(대통령님) 연탄니(이) 비사서(비싸서) 우리가 춥씁니다(춥습니다). 연탄값을 내레주세요(내려주세요).”
31일 오전 허기복 밥상공동체 연탄은행 대표이사(연탄은행전국협의회 회장)가 꼭 한 달 만에 다시 청와대 분수대 앞에 섰다. 허 대표는 지난달 31일 같은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탄이 금탄이 되고 있어요. 좀 막아주세요”라고 요구하며 1인 릴레이 시위를 시작했다. 1인 시위에는 그동안 허 대표를 시작으로 강정칠 부산연탄은행 대표 등 600여명이 참여했다.
허 대표는 “1인 릴레이 시위는 일단 끝을 내지만 연탄가격 동결을 요구하는 우리의 외침은 끝나지 않았다. 연탄가격 동결을 요구하는 어르신부터 초등학생 등이 보내온 손편지 등과 대국민 서명운동지 등을 모아 청와대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연탄은행은 그동안 1인 시위뿐 아니라 청와대 국민청원과 대국민서명운동 등도 진행했다. 하지만 지난달 13일 시작된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31일 오전 11시 현재 2263명이 동참하는 데 그쳤다.
연탄은행 전국협의회와 밥상공동체 연탄은행 관계자들이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연탄가격 인하를 촉구한 뒤 20만여 명이 서명한 서명지를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며 연탄지게에 얹고 민원실로 향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허 대표는 “연탄 쓰는 사람들은 대부분 나이가 많아 인터넷도 쓸 줄 몰라 청와대 국민청원에선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수 없다. 대신 연탄사용 14만 가구와 대국민 서명운동 등에 동참한 국민의 수를 더하면 20만9207명에 이른다. 20만명을 넘긴 만큼 청와대가 공식 답변을 해달라”고 하소연했다.
앞서 정부는 올해 연탄값을 19.6% 인상했다. 2016년 14.6%, 2017년 19.6% 등 최근 3년 사이 년이어서 연탄값이 오른 셈이다. 정부의 인상 조처로 2016년 1장에 600원(소비자가격 기준)이던 연탄값은 올해 800원까지 올랐다. 여기에 배달료 등을 포함하면 달동네와 농어촌산간벽지 등에서는 900원을 내야 한다. 2003년만 해도 300원이었다.
연탄은행뿐 아니라 전국 시·군의회도 연탄 가격 인상 철회를 잇달아 결의하고 나섰다. 강원 원주시의회가 12월19일 건의안을 채택한 데 전국 11개 지방의회가 연탄 가격 인상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허기복 대표는 “연탄은 단순히 저렴해서 때는 것이 아니다. 비싼 기름으로는 난방비를 감당할 수 없어 연탄이라도 때며 살겠다는 서민들의 마지막 생존 수단이다. 연탄가격 인상은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빈곤의 고착화만 양산하는 조처다. 연탄 가격 인상을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