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도시민과 농업인의 수입 농수산물에 대한 태도는 현격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에서 나타났다.
도시민의 절반 이상이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세금을 추가로 부담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6일 공개한 지난해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를 통해 나타났다. 연구원은 지난해 11월24일~12월14일 농업인 1259명과 도시민 1500명 등 모두 2759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와 방문조사를 진행했다. 연구원은 2006년부터 해마다 농업인과 도시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펼쳐왔다.
이 조사에서 식량생산 기지이자 생태경관의 보고인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세금을 추가로 내겠느냐는 질문에 도시민의 절반 이상이 찬성 의견을 표시했다.
응답자 중 53.0%는 찬성, 37.9%는 반대, 9.0%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찬성한다’는 응답은 농촌에 가족이 있는 경우가 58.0%로 없는 경우의 51.2%보다 높았다. 하지만 찬성 의견은 2016년 54.6%에서 2017년 53.8%, 2018년 53.0%로 해마다 소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도시민이 채소 육류 곡물 과일 등 농식품을 살 때 고려하는 요소는 품질, 안전, 가격, 상표, 포장, 영양 순이었다. 도시민한테 우리 농산물과 수입 농산물을 선택하는 기준을 묻자 37.9%는 ‘싸면 수입 농산물을 산다’, 32.7%는 ‘비싸도 우리 농산물을 산다’, 29.3%는 ‘품질이 좋은 쪽을 산다’고 응답했다. 가격이 싸면 수입산을 산다는 비율은 2016년 28.7%, 2017년 34.4%, 지난해 37.9%로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도시민 중 31.3%는 은퇴 뒤 귀농·귀촌할 의향이 있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귀농·귀촌 의향자 중 절반 이상은 아직 구체적인 시기를 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의 직업 만족도는 2017년 38.5%에서 2018년 32.0%로 떨어졌다. 직업에 불만족한 이유로는 ‘보수가 낮다’(53.7%), ‘장래가 불안하다’(15.5%), ‘정부 지원이 적다’(14.0%), ‘육체적으로 힘들다’(12.0%) 등을 꼽았다.
올해 들어 모든 농산물로 적용을 확대한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국내 사용등록 또는 잔류기준이 있는 농약만 사용하게 하는 제도)는 도시민의 92.3%, 농업인의 31.3%가 ‘내용을 모른다’고 응답해 홍보와 교육이 필요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