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때 울산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각종 기록과 사진을 한 자리에서 볼 기회가 마련됐다.
울산시는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25일부터 3월15일까지 시의회 의사당 1층 시민홀에서 ‘기록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울산과 3·1운동’ 전시회를 연다. 일제강점기 울산의 기록물은 해방 이후 대부분 소실됐지만, 일부 기록물이 읍·면사무소에서 발견돼 시와 각 구·군 기록관에서 보존·관리해오다 이번에 공개하게 됐다. 전시회는 △일제강점기 울산의 식민통치 △일제강점기 울산의 사회상 △일제강점기 울산의 지방통치체제 △울산의 3·1운동 △엽서와 사진으로 본 일제강점기 울산 등 5개 주제별로 짜였다.
1919년 4월2일 언양(울주군)을 시작으로 4일 병영(중구), 8일 남창(울주군)으로 이어졌던 100년 전 울산의 3·1운동 상황과 운동에 참여했던 지역민들의 일제 침략에 맞선 저항정신을 당시 조선총독부에 보고됐던 도장관 보고서, 재판판결문, 수형 카드 등을 통해 엿볼 수 있다. 당시 일제는 3·1운동을 ‘조선만세소요사건’이라고 기록했다.
당시 범죄와 형벌의 적용에서도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 민족적 차별이 자행돼, 억압적인 봉건시대 형벌인 ‘태형’이 한국인에게만 집행됐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군(郡)을 기본으로 하던 전통적인 지방통치체제가 해체되고, 면(面)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군·면 통폐합이 이뤄져 당시 언양군이 울산군에 통합됐던 과정도 살펴볼 수 있다. 이밖에 일제의 식민지 수탈과 징병·징용 등 인력 강제동원 사실을 알 수 있는 토지신고서, 묘적계, 기류부(현재의 주민등록부) 등의 기록물도 볼 수 있다.
울산시는 “일제강점기 식민지 수탈과 민족적 차별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어왔지만 울산지역의 식민통치 실상에 대해 알 기회는 많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울산에서 이뤄진 경제수탈과 식민통치의 실상뿐만 아니라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목숨을 걸고 독립을 외쳤던 울산시민의 항일정신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