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 완산구 원당동 추동마을 주민들이 5일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남전주 인터체인지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임채동 주민대책위원장이 현재 상황을 설명하며 “여러분도 한번 와서 보면 그동안 이런 투쟁이 경험없는 우리가 왜 이러는지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전북 전주 외곽의 주민들이 고속도로 인터체인지(IC) 건설로 생존권·건강권이 심각하게 피해를 입는다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전북 전주시 완산구 원당동 추동마을 주민들은 5일 오전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6공구에 들어서기로 돼 있는 남전주 인터체인지 설치 계획의 무효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우리 마을은 현재 전주~순창간 27번 국도가 지나고, 12년 전에 21번 국도(4차선) 개통으로 마을과 도로간 직선거리가 100m도 떨어지지 않는 지점에 있으나 방음벽도 제대로 설치되지 않아 소음·분진으로 창문을 열지 못하고 빨래도 내놓지 못하는 등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마을 북서쪽으로 지나갈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계획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가 들어서면 전주 추동마을은 동서남북 4면이 도로에 에워싸이게 된다. 검은색 인터체인지가 애초안이고 그 위에 빨간색 인터체인지가 변경안이다. 변경안이 추동마을과 더 가깝다. 도로공사 쪽은 “직선거리를 더 확보하려면 하천 때문에 서쪽으로 옮겨야해서 변경안이 마을과 더 가까워졌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또 “마을 주변에 인터체인지가 들어설 계획인데 직선거리로 불과 100m 가량 밖에 떨어지지 않아, 마을의 동서남북 4면이 모두 도로로 에워싸이게 된다. 딸기 등 농지 훼손으로 생존권 침해와 함께 먼지·소음으로 건강권도 위협받고 있는 형편”이라고 주장했다.
임채동 주민대책위원장은 “21번 국도 개통이후에 마을주민 7명이 폐암으로 사망했고, 현재 4명도 폐암으로 투병 중이다. 주민공청회·설명회도 한 번 없이 애초안과 다르게 마을과 가까운 변경안으로 결정돼 분노하고 있다. 7개월 동안 대책위를 꾸려 한국도로공사 본사 등에 항의했으나 형식적인 답변만 내놓았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날부터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도로공사 건설사업단에서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78가구에 160명이 사는 추동마을 주민들은 벼농사와 딸기·복숭아 재배로 생계를 잇고 있다.
전주 추동마을은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가 들어서면 동서남북 4면이 도로에 에워싸이게 된다. 더욱이 남전주 인터체인지가 마을 가깝게 생기면 지금 보다 더 소음·분진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민들은 주장하고 있다.
도로공사 쪽은 “그동안 여러차례 주민설명회 등을 시도했으나 대책위가 원천무효를 주장하며 반대해 열지 못했다. 애초 수납원이 없는 무인 인터체인지에서 수납원이 있는 혼합형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직선거리 250m가 필요해 마을과 부득이 가까워졌다. 애초안과 변경안 중간지점으로 절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도로공사는 이달 말까지 국민권익위원회 주관으로 주민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