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대문구 신설동 다산콜센터에서 직원들이 시민들과 전화 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인공지능 챗봇이 시민 질문에 자동으로 문자 답변을 하는 시스템이 올해 서울 120다산콜센터에 시범 도입된다. 범죄나 화재, 주민들 간의 싸움 등 시민 안전을 자동 탐지하는 지능형 폐회로티브이(CCTV)도 선보인다. 또 서울 전역에 5만개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설치돼 미세먼지, 소음, 유동인구, 차량이동 등 도시데이터를 한 곳으로 모은다.
13일 서울시는 행정, 교통, 안전, 복지, 환경, 경제 등 도시 전반에 빅데이터를 활용해 시민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의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스마트시티 좌담회’를 열고 스마트시티 특구로 지정된 성동구, 양천구의 구청장들과 함께 ‘빅데이터 수도 서울’에 대해 논의했다. 박 시장은 “도시문제 해결에 있어 빅데이터는 효과적인 도구다. 앞서나가는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시티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2022년까지 1조4천억원 투입해 도시행정에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같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결합하고 기존에 없던 새 서비스를 만들어 시민들에게 제공한다는 목표다. 서울 전역엔 5만개의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설치돼 도시데이터가 수집되고 시 행정에 활용된다. 2020년까지 서울시와 산하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는 시민들에게 전면 개방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새로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낼 때 기존 도시에 일조권, 조망권, 바람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모의 실험하는 ‘쓰리디(3D)기반 버추얼 서울’ 시스템도 2021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도 올해 도입된다. 상담기관 120다산콜센터에는 인공지능(AI) 챗봇이 시민 질문에 자동으로 문자 답변을 하는 서비스가 시범 적용된다. 시는 시민들의 주요 관심사항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딥러닝 기술로 답변의 정확도를 높일 방침이다.
주민들간의 싸움이나 범죄, 화재 등 사건을 자동 탐지하는 지능형 폐회로티브이(CCTV)도 2021년까지 1만7820대 도입된다. 빅데이터로 사건에 즉시 대응해 ‘안전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자치구별로 각각 관리하는 폐회로티브이(CCTV) 영상정보를 서울시, 경찰, 소방이 공동활용하는 ‘스마트서울 안전센터’도 마포구 상암동에 올해 설치된다.
교통분야에도 빅데이터가 활용된다. 서울 전역에 설치될 예정인 5만개의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시내 주차 상황을 파악해 스마트앱으로 전송하면 시민들이 주차공간 확인과 예약, 요금결제까지 가능한 ‘IoT 공유주차 시스템’이 올해 시범운영된다.
민간 빅데이터와 공공이 가진 빅데이터를 함께 활용하는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도 추진된다. 이 플랫폼은 건축물대장, 부동산 실거래가 등 공공기관이 가진 데이터와 담보대출데이터 등 민간 금융기관이 가진 데이터를 융합해 ‘소형 공동주택 매매시세 데이터’를 개발할 예정이다.
앞서, 서울시는 서울 성동구와 양천구를 스마트시티 특구로 지정했다. 두 특구에는 2021년까지 36억을 투입해 스마트 횡단보도, 맞춤형 스마트 보안 등 같은 생활현장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