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대학평가에서 기본 역량이 미흡한 ‘역량강화대학’으로 분류된 조선대가 학사구조 혁신안을 마련했지만 정작 내부 구성원들이 반발하고 나서면서, 혁신안을 둘러싼 학내 혼란이 커지고 있다.
17일 조선대 쪽의 말을 종합하면, 조선대 혁신위원회는 기존 17개 단과대 체제를 13개로 통폐합하는 내용을 담은 개편안을 지난달 26일 이사회에 보고했다. 개편안은 기존 단과대 통폐합을 통해 글로벌인문대학과 법사회대학, 공공보건안전대학, 미술체육대를 신설하는 것이 핵심이다. 조선대는 지난해 11월 각계 인사 15명으로 혁신위원회를 꾸린 뒤 개혁 방안을 마련해왔다.
조선대가 혁신안 마련에 나선 것은 지난해 8월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평가에서 역량강화대학으로 분류되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대는 오는 26일까지 교육부에 혁신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교육부는 올 상반기 중 지난해 역량강화대학으로 분류된 전국 30개 대학 가운데 12곳에만 재정 지원을 한다.
하지만 혁신안에 대해 일부 구성원들은 반발하고 있다. 교수평의회와 학장협의회는 “규정과 절차를 무시한 졸속 조정안”이라며 혁신안 거부를 선언했다. 총장 직무대리를 맡고 있던 부총장과 기획조정실장도 사퇴했다. 이들은 자연과학과 보건과학 대학을 묶어 공공보건안전대학으로 통합하고 경찰행정학과를 공공보건안전대학으로 옮기는 방안을 놓고 혁신위와 다른 목소리를 냈다. 반면, 조선대 이사회는 “적법한 절차를 거쳐 마련된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이 차질없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일부 내부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이해에 따라 혁신안을 거부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1988년 대학 민주화투쟁을 통해 옛 경영진이 물러난 뒤 조선대는 총장 직선을 둘러싼 이해관계 때문에 번번이 개혁에 실패했다. 이번 개편안은 2017년 10월 임시이사 체제가 출발한 뒤 나온 첫 혁신안이다. 조선대 한 교수는 “교수들 사이에는 ‘이번에는 변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번 혁신안은 조선대 사상 처음으로 학사구조 개혁의 형식을 갖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