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8일 국회 정론관에서 소감을 밝힌 뒤 인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가 자신의 국회의원 지역구인 서울 용산구의 한 개발업자로부터 후원금 1490만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19일 진 후보자의 국회의원 후원금 모금 내역과 행안부의 설명을 종합하면, 진 후보자는 서울드래곤시티 등을 개발·운영하는 용산구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서부티엔디(T&D) 승만호 대표로부터 2016년 4월 490만원, 2010년 500만원, 2008년 500만원 총 세차례 후원금을 받았다. 서부티엔디는 누리집에 “핵심 지역에 위치한 보유 부동산을 대규모 복합쇼핑몰, 물류시설, 비즈니스호텔 등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현행 정치자금법상 국회의원에게 줄 수 있는 후원금의 연간 최대한도는 500만원이다. 법은 개인이 특정 국회의원에게 연간 300만원을 초과해 후원하면 인적 사항을 공개하도록 돼 있다.
진 후보자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서울시에 용산 재개발을 촉구한 일이 승 대표의 거액 후원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진 후보자는 용산참사 1년여 뒤인 2010년 10월11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을 상대로 “용산구에서 ‘최고 고도 지구를 완화해달라’는 요청을 서울시에 했는데 서울시 입장은 어떻습니까?”라고 질의했다.
진영 후보자 쪽은 승 대표의 후원과 의정 활동은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행안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단은 19일 설명자료를 내어 “거론된 후원자는 용산구 상공회 회장을 지낸 기업가이자 용산복지재단 이사장으로 후보자의 의정 활동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며 “후보자는 정치자금법에 따라 후원금을 적법하게 철저히 관리해왔다”고 해명했다. 또한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한 고도제한 완화 발언은 용산구 주민들이 재산권을 제한받는 상황에서 지역구 의원으로서 주민의 공통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진 후보자는 2013년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검증 청문회에서도 비슷한 지적을 받았다. 당시 청문회 회의록을 보면, 청문위원으로 참석한 이학영 당시 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 전신) 의원은 “해당 지역구인 용산에 대단위 역세권 개발이 지금 이뤄지고 있다. 그런데 거기 기업의 대표들께서도 (진 후보자에게) 후원금을 냈다. 인과관계가 있다고 오해할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미향 채윤태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