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지역의 인구와 경제가 급성장하고 있지만, 사회기반시설과 재정자립도 등은 전국 평균보다 떨어져 지역경제를 이끌 성장동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이 20일 발표한 ‘경기북부의 오늘과 미래’ 보고서를 보면, 2016년 경기북부의 총인구는 324만5천명으로 서울, 경기남부, 부산, 경남에 이어 5위를 기록했지만, 인구성장률은 18개 시·도(경기남부 포함) 가운데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5~2005년, 2005~2015년까지 경기북부의 연평균 인구성장률은 각각 4.19%, 2.17%였다. 경기북부의 실질지역내총생산(GRDP)도 2015년 기준 59조3205억원으로 경기남부(267조4373억원)의 22%에 그쳤지만, 2012~2015년 연평균 실질 성장률은 5.3%로 전국 평균치(3.0%)를 크게 웃돌았다. 연구원은 경기북부와 전국 17개 시·도의 인구·주거, 도시, 교통, 산업·경제, 문화·여가, 환경, 녹지·생태, 교육, 고용·보건복지, 재정, 규제 등을 견줘, 이 보고서를 작성했다.
반면, 면적과 인구 대비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길이를 나타내는 국토계수당 도로연장 지표 값은 경기북부가 2016년 14.5로 전국 9개 도 가운데 가장 낮았고, 전국 평균(15.9)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도로 등 사회기반시설이 다른 지역에 견줘 떨어진다는 것이다. 재정자립도도 2016년 기준 34.5%로, 전국 평균(52.5%)에 크게 모자랐으며, 1995~2015년까지 10년 주기별로 평균 8.7%의 감소세를 보였다.
이외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북부는 인구 증가로 경제성장, 경제활동인구, 학교 등은 늘어나고 있으나, 양적 성장보다 도로 등 기반시설, 복지·보건시설과 서비스, 문화·여가 서비스, 교육조건 등 질적 성장이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경기북부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해 기반시설과 복지, 교육, 문화 등 사회인프라가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가 21일 경기도 북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포천·연천·가평·양평·동두천·여주 등 6개 시·군의 균형발전을 위해 내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4123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히고 있다. 경기도 제공
한편, 경기도는 부족한 기반시설로 발전이 더딘 포천·연천·가평·양평·동두천·여주 등 동·북부 6개 시·군을 ‘제2차 지역균형발전 사업’ 대상 지역으로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경기도는 6개 시·군에 5년간 4123억원을 들여 문화·체육시설과 도로 인프라 확충 등 사업을 벌여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방침이다.
경기도의 지역균형발전 사업은 지역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2015년부터 5년 단위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1차는 2015년부터 올해까지 3171억원을 들여 연천 고대산 자연휴양림 조성 등 51개 사업을 추진했다. 정상균 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낙후된 지역에 안정적인 투자를 통해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겠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