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순 강원지사(사진 오른쪽부터)와 박일준 한국동서발전㈜ 사장, 김양호 삼척시장이 25일 오후 강원도청 본관 2층 회의실에서 ‘수소기반 에너지 거점도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원자력발전소가 들어설 예정이던 강원도 삼척 근덕면 일대가 친환경 수소도시로 탈바꿈한다.
최문순 강원지사와 김양호 삼척시장, 박일준 한국동서발전 사장은 25일 오후 강원도청 본관 2층 회의실에서 ‘수소기반 에너지 거점도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수소기반 에너지 거점도시는 원전예정구역 일대에 수소연료전지발전소와 에너지자립형 스마트팜, 수소생산시설, 주민참여형 태양광발전단지, 수소 기반 에너지자립형 주택단지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317만8292㎡ 규모로 2025년까지 모두 1조7000억원이 투입된다.
거점도시의 핵심인 수소연료전지발전소는 천연가스에서 생산한 수소와 공기 중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시설이다. 기존 화석연료에 견줘 발전효율이 높고 매연 등이 적어 친환경 발전시설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1월 정부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고 연료전지 발전을 신산업분야로 적극적으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남는 열을 이용해 사계절 작물을 재배하는 ‘에너지자립형 스마트팜’도 조성한다. 발전소 인근에는 수소 산업을 기반으로 한 500 가구 규모의 에너지자립형 주택단지와 주민참여형 태양광발전단지 등도 마련할 계획이다.
삼척 근덕면 일대는 이명박 정부 당시인 2012년 9월 원전 예정구역으로 지정 고시됐다. 하지만, 삼척 시민들은 2014년 10월9일 원전 건설과 관련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주민투표를 벌여 84.9%가 ‘원전 유치 반대’ 결과를 도출하기도 했다. 이후 문재인 정부 들어 탈원전 정책이 추진되면서 2017년 12월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빠지는 등 사실상 백지화 수순을 밟고 있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중에 원전예정구역 고시가 해제될 전망이다.
윤인재 강원도청 에너지과장은 “원전 예정부지가 친환경 수소도시로 탈바꿈한다는 것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도 상징적인 소식이 될 수 있다. 그동안 원전부지로 지정돼 재산권 행사 제약 등으로 피해를 본 주민들의 피해 보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