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의 공공자전거인 ‘피프틴’ 주차장에 자전거들이 주차돼있다. 박경만 기자
경기도 고양시가 공공자전거 서비스 ‘피프틴’의 운영사인 ㈜에코바이크의 차기 대표로 최성 전 시장의 보좌관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져 시 공무원과 노동조합이 반발하고 있다.
25일 고양시와 공무원노조, 에코바이크 쪽의 말을 종합하면, 고양시는 26일로 예정된 주주총회에 최 전 시장의 재임 8년 동안 줄곧 보좌관을 맡은 정아무개씨를 차기 대표이사 후보로 추천했다. 주주총회에서 통과되면 정씨는 민자사업 계약 기간이 만료되는 2020년 5월 말까지 에코바이크 대표직을 맡게 된다.
하지만, 고양시 안팎에서는 공공자전거의 무리한 운영으로 재정 적자에 책임이 있는 최 전 시장의 최측근인 정씨가 에코바이크 대표를 맡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고양시 공무원노조는 지난 21일 성명을 내어 “피프틴 사업은 민자사업으로 출발할 때부터 문제가 많았고 적자 폭이 연 30억원에 가까워 8년간 217억원의 막대한 세금을 지원해 주고 있다. 이 사업을 근본부터 폐지할 것인가를 검토하고 문제 해결에 노력하여야 할 중차대한 시기인데도, 이 사업을 추진한 전 시장의 최측근을 대표에 내정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어 “지난 8년 동안 온갖 사업의 배후로 지목돼왔고, 현재 감사가 진행 중인 킨텍스 부지 매각 특혜 사건과도 무관하지 않은 전 시장의 핵심인사를 유관기관의 낙하산 인사로 대표에 앉히겠다는 것은 고양시민과 공무원들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덧붙였다.
고양시청 내부 게시판에서도 내정 철회를 요구하는 글이 수십건 잇따랐다. 한 공무원은 “적자투성이의 공공자전거 사업에 책임이 있는 전 시장 측근을 낙하산으로 대표에 앉히려 하다니 이해할 수 없다. 적폐청산을 기대했는데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
고양시의회 자유한국당 소속 시의원들도 최근 성명을 내어 “최 전 시장의 보좌관이 에코바이크 대표가 되는 것에 대한 당위성은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는 인사권 남용을 넘어 인사폭력”이라고 말했다.
한편, 에코바이크는 2010년 6월 전국 최초로 민간투자방식(BOT)으로 시작된 공공자전거 서비스로, 고양시가 70%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고양시는 2020년 5월말 민자사업 계약 기간이 끝나고 시설이 기부채납되면 운영방식을 재검토할 예정이다. 피프틴은 애초 스테이션 140개와 자전거 3천대가 투입됐지만 9년가량 지나 장비와 자전거 노후화로 이용률이 떨어져 현재는 1500대 정도만 운영 중이다. 시는 운영사인 에코바이크의 적자 보전을 위해 2013년부터 연간 27억1천만원씩 8년 동안 모두 217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송요찬 고양시 도로정책과장은 “시 산하기관이라면 공모절차를 거치거나 자격요건을 갖춰야 하겠지만, 민자사업이다 보니 이사회에서 결정하게 돼 있어 (개입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