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난지물재생센터 등 고양시 안에 있는 서울시 소유의 기피시설로 인한 해묵은 갈등을 풀기 위해 서울시에 ‘공동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고양시는 난지물재생센터 지하화, 벽제승화원 공원화와 같은 중요사안의 합의나 정책결정을 위해 실무부서간 협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제1부시장급을 대표로 하는 공동협의체를 제안했다고 4일 밝혔다.
고양시의 설명을 들어보면, 현재 서울시가 운영하는 고양시 안 기피시설은 벽제승화원, 난지물재생센터, 서대문구 음식물처리시설 등 5곳이며,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등 시 경계에 자리한 시설까지 합치면 모두 7곳이다. 30~40년 이상 운영해 온 이 시설들은 대부분 고양시 덕양구에 집중돼 있어 주민 피해와 함께 지역 균형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앞서 고양시와 서울시는 주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2012년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을 체결해 기피시설로 인한 민원을 해결중이지만 여전히 현지 주민들의 불만이 높다.
고양 주민들은 서울시가 서울 안에 있는 기피시설에는 집중 투자하면서 고양시 소재 기피시설은 사실상 외면하고 있다고 항의한다. 탄천물재생센터 등 서울시 소재 물재생센터의 경우 10여년 전부터 수천억 원의 예산을 세워 시설 현대화, 공원화사업 등을 추진해 온 반면, 규모가 가장 큰 고양 난지물재생센터의 시설 개선사업은 후순위로 밀려 있는 상태다.
여기에다 도내동 차고지 불법 문제, 은평자원순환센터 입지, 서대문구 음식물처리시설 운영 등 최근 새로운 갈등까지 더해지면서 두 도시가 체결한 ‘공동합의문’은 거의 무용지물이 되었다는 게 고양시의 주장이다. 이 가운데 은평자원순환센터는 인근 주민들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제기한 민원이 월 평균 5천 건에 달해 국가인권위원회에서도 ‘심각 민원’으로 분류할 만큼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기피시설 갈등 해소를 위해 두 도시가 오랫동안 노력해왔으나 아직까지 주민 기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두 도시가 상생할 수 있는 창조적 대안을 찾고 이를 정책화하기 위해 제1부시장급이 대표로 하는 하향식 구조의 정책협의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