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2월 2700억원을 들여 준공한 나주 고형폐기물(SRF) 열병합발전소 지역난방공사 제공
초등학생 등교 거부로 광주·전남혁신도시의 열병합발전소 갈등 해결을 위한 민관협치가 심각한 위기를 맞았다.
나주 고형폐기물(SRF) 열병합발전소 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협력위는 11일 열려던 회의를 25일로 연기했다. 민관협력위는 이날 환경영향조사를 위한 시험가동 날짜를 합의할 예정이었다. 민관협력위가 돌연 회의를 연기한 것은 초등학생 등교 거부와 이전 기관 노조의 반대를 의식했기 때문이다.
나주 열병합발전소 쓰레기연료 사용 반대 시민대책위는 이날 회의 장소인 열병합발전소 앞에서 2500여명이 참석하는 집회를 열었다. 주민들은 이날 혁신도시 안 초등학교 4곳의 학생 232명을 체험학습을 하겠다며 학교에 보내지 않았다. 주민들은 “준공 전 3개월 동안 시험가동을 했을 때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이 심각했다. 당시 자료가 축적된 만큼 다시 시험가동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한전과 농어촌공사 등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노동조합협의회도 성명을 내고 “노동자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경영진이나 위정자들이 노동자들을 보호하는 데 관심이 없다”며 혁신도시 기관장 협의회를 저지하고 지역 단체장을 불신임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환경 유해성 조사를 시행하면 사택 이전, 연차 투쟁, 2단계 공공기관 이전 반대 등 투쟁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지난 1월 구성된 민관협력위는 6차례 회의를 연 끝에 열병합발전소 갈등을 해결할 잠정 합의에 이르렀다. 4월이 활동 시한인 민관협력위에는 지역난방공사와 나주시민대책위, 산업통상자원부, 전남도, 나주시 등 5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협력위는 지난달 26일 60일의 가동 준비와 60일의 시험가동을 통해 환경 유해성 조사를 하기로 합의했다. 그 결과를 토대로 5㎞ 안 4만여명의 주민투표(70%)와 공론조사(30%)를 통해 가동할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후 주민과 노조의 반발 수위가 높아지자 서둘러 최종합의 날짜를 미루고 의견조정에 나섰다.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민관협치는 수포로 돌아가고 발전소 갈등은 원점으로 돌아가게 된다.
산자부는 2017년 12월 2700억원을 들여 혁신도시 아파트와 공공기관 사무실에 온수와 전기를 공급하는 열병합발전소를 준공했다. 하지만 연료를 고형폐기물에서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하고, 광주 등 다른 지역의 쓰레기연료를 반입하지 말라는 주민의 반발로 1년 3개월 동안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