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농수산물공사 임직원들이 지난 8일 공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창립 22주년 기념식에서 ‘열린 혁신, 미래 선도’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구리농수산물공사 제공
정치인 출신의 ‘낙하산’ 인사가 줄곧 대표를 맡아온 경기도 구리농수산물공사의 사장 후보에 유통분야 전문가들이 추천돼 최종 낙점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7일 구리농수산물공사의 설명을 들어보면, 공사 임원추천위원회는 지난 5일 서류전형을 통과한 후보자 4명에 대한 면접심사를 진행해 유통 전문가 2명을 사장 후보로 추천했다. 임명권자인 안승남 구리시장이 이들 중 1명을 사장에 임명하면 구리농수산물공사는 사상 2번째로 전문 경영인 출신이 경영을 맡게 된다.
하지만 지난해 사장 공모에서 유통 전문가인 사장 후보 2명에 대해 경력 등을 문제삼아 거부권을 행사했던 안 시장이 또다시 거부권을 행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또다시 낙하산 인사가 대표를 맡게 되는 것이 아닌가’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공사 노조는 안 시장이 전문 경영인에 대해 거부권을 검토하는 진짜 이유는 최종후보(2명)에 들지 못한 김아무개(75) 전 사장을 재선임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하고 있다.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전신) 구리시의원 출신인 김 전 사장은 2년 연속 경영평가 등급 미달로 지방공기업 사장 연임(1년)이 불가능해지자 지난해 3월말 퇴직한 뒤 6·13지방선거에서 안 시장을 적극 도왔다. 이어 지난해 8월 임기 3년의 공사 사장 공모에 나섰으나 당시에도 최종후보에 들지 못하고 탈락했다.
지방공기업법은 정부 경영평가에서 2년 연속 ‘나’ 등급 이상을 받아야 연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퇴직 이후 다시 사장 공모에 응할 경우 막을 근거가 없다.
이와 관련해 한 공사 직원은 “사장 후보 2명 모두 30년 유통경력을 지닌 분들로 결격사유가 전혀 없다. 이런 분을 함량 미달이라며 정치인 출신을 다시 낙하산으로 앉히려 한다면 권력 오남용이란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도 최근 성명을 내어 “경영 평가에서 연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전 사장의 편법 재취임은 공기업의 효율적인 관리 측면에서 국가경제에 해악을 끼치는 행위”라며 “김 전 사장의 편법 재취임 음모를 즉각 중지하고 유통분야 전문경영인을 선임해 도매시장을 활성화하라”고 주장했다.
구리농수산물공사는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을 관리하는 구리시 산하 지방공기업으로 지분은 서울시가 23%, 구리시가 77%를 갖고 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