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2014년 4월 620억원을 들여 순천만 정원역~문학관역 4.6㎞ 구간에 개통한 소형경전철(스카이큐브)는 5년 만에 사실상 중단됐다. 에코트랜스 제공
민자를 투입해 순천만에 설치된 소형경전철의 대규모 적자를 두고 순천시와 포스코가 정면 충돌하고 있다.
‘순천 소형경전철(PRT·무인궤도차) 사태 해결을 바라는 시민대책위원회’는 17일 순천시청에서 출범식을 열고 “포스코가 추진한 사업이 실패했다고 순천시민에게 1367억원을 물어내라고 하느냐. 포스코는 기업 윤리를 저버리는 제소를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앞으로 서명 운동과 1인 시위를 벌이는 한편, 민간투자 사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입법 청원 활동을 펼칠 방침이다. 김인철 순천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은 “포스코에 느끼는 배신감이 크다. 각종 시민단체 71곳이 분야와 성향을 넘어 연대했다”고 전했다.
순천시와 포스코는 2012년 투자협약을 맺고 순천만에 소형경전철 4.6㎞를 설치해 30년 동안 운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2014년 개통한 경전철의 승객이 손익분기점인 연간 80만명에 크게 못 미치는 30만명 수준에 머물면서 책임을 둘러싼 다툼이 벌어졌다.
포스코 자회사인 에코트랜스는 지난달 18일 5년 동안 소형경전철 사업으로 적자 200억원이 쌓였다며 순천시를 대한상사중재원에 제소했다. 이 업체는 ‘협약해지 지급금’으로 △궤도차와 정류장 등 시설물 591억원 △향후 25년의 미래보장수익 709억원 △과거 5년의 미지급 투자분담금 67억원 등 1367억원을 청구했다. 에코트랜스 관계자는 “2011년 사업 개시 뒤 적자가 지속돼 순천시에 사업 정상화를 위한 협약 이행을 요구했으나, 순천시가 이를 수용하지 않아 이번 청구를 제기한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순천시는 “기업의 실패 책임을 시와 시민에게 떠넘긴다”며 이 사업에 대한 국정감사를 요구하겠다고 맞섰다. 대한상사중재원은 오는 19일 에코트랜스의 제소에 대한 1차 답변서를 낼 예정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