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중소상인연합회와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가 지난 17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종합경기장 개발 협의의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제공
전북 전주시가 덕진동 종합경기장 개발 계획을 발표하자, 지역 소상공인과 시민단체 등이 반대하고 나섰다.
전주시는 종합경기장 터를 사람·생태·문화를 담은 시민의 숲과 전시컨벤션센터·호텔 등이 들어선 마이스(MICE) 산업의 전진기지로 개발하는 ‘시민의 숲 1963’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지난 17일 밝혔다. 이 계획은 크게 △정원(나무·꽃)의 숲 △예술(공연·전시·축제)의 숲 △놀이(생태)의 숲 △미식(음식)의 숲 △마이스(회의·전시회 등)의 숲 등 다섯 주제로 나뉜다.
그러자 전북중소상인연합회와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종합경기장 개발이 돌고 돌아 다시 롯데로 왔다. 경기장을 시민의 숲으로 조성하겠다던 김승수 전주시장이 이를 파기하고 롯데쇼핑과 복합센터를 짓겠다는 것은 배신의 정치”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시가 롯데쇼핑에 경기장 터 일부를 50년 이상 무상임대하겠다는 것은 사실상 소유권을 넘기는 매각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소상공인 단체는 또 “경기장에 대형백화점이 들어서면 약 2500곳의 가게가 문을 닫고, 여기에서 일하는 8천~9천명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다. 경기장개발반대 범시민대책위를 꾸려 대응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정의당 전주시위원회도 “전주시의 개발 계획은 경기장을 시민공원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공원을 만들어서 재벌인 롯데에 통째로 바치겠다는 것”이라며 반대했다.
시민의 숲 프로젝트를 살펴보면, 정원·예술·놀이·미식의 숲 터는 전체면적(12만2975㎡)의 3분의 2가량을 차지하는, 시민들의 휴식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간이다. 나머지 4만㎡가량인 마이스 산업 터에는 국제규모의 전시장과 회의장 등을 갖춘 전시컨벤션센터, 200실 이상 규모의 호텔이 들어선다. 또 판매시설로 지금의 완산구 서신동 롯데백화점이 이곳으로 이전한다.
시는 종합경기장 터가 개발됨에 따라 대체시설로 전주월드컵경기장 근처에 모두 900억원을 투입해 국제경기를 치를 수 있는 1만5천석 규모의 1종 육상경기장과 8천석 규모의 야구장을 새로 짓는다. 종합경기장 소유주인 전주시는 롯데백화점이 들어서는 판매시설 터만 롯데쇼핑에 50년 이상 장기임대해주고, 롯데쇼핑은 전시컨벤션센터를 지어 시에 기부채납한다. 호텔도 20년간 롯데쇼핑이 운영한 뒤 전주시에 반환한다.
김승수 전주시장이 지난 17일 전주시청에서 종합경기장 터에 시민의 숲과 전시컨벤션센터 등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전주시 제공
전주시는 지역상권 보호를 위해 백화점을 중심으로 한 판매시설 면적이 애초 6만4천㎡에서 절반 이하인 2만3천㎡로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애초 롯데쇼핑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하려 했던 이 사업은 민선 6기 김승수 시장이 들어서면서 지역상권 붕괴 우려로 시민공원 등으로 방침이 바뀌면서 우여곡절을 겪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