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는 해역 지진 발생에 따른 지역 명칭 발표 기준을 바꿔달라고 기상청에 건의하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19일 동해시 동북쪽 54㎞ 해역에서 발생한 진앙 위치. 기상청 제공
최근 동해산 산불로 피해를 본 강원 동해시가 이번엔 ‘지진 도시’라는 오명에 울상이다. 지난 19일 발생한 해역 지진의 진앙지로 동해시가 꼽혔기 때문이다. 동해시는 지진 해역 명칭의 발표 기준을 바꿔달라고 기상청에 건의할 예정이다.
19일 기상청은 “동해시 동북쪽 54㎞ 해역, 북위 37.88도, 동경 129.54도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동해시가 지진의 진앙지로 알려진 계기였다. 현재 기상청은 내륙에서 발생한 지진은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지진 발생 도시의 이름을 발표하지만, 해역 지진은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시·군청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동해시는 최근 발생한 산불로 관광객이 줄고 지역 경기가 침체한 가운데 이번엔 지진 도시로 알려져 지역경제에 더욱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동해시는 지도에서 이 위치를 검색하면 위도를 기준으로 강릉시 주문진읍과 양양군 현북면에 해당한다고 지적한다. 해상 관할 구역을 따져도 강원 중부해안으로 강릉시의 관할 해역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동해시는 기상청이 이 기준을 고수하면 강릉 정동진 앞바다에서 난 지진도 ‘동해시 지진’으로 둔갑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동해안 경계가 북쪽으로 왼쪽으로 기울어진 형태인 데다 동해시청에 견줘 강릉시청이 해안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동해시는 특히 ‘동해시 북동쪽 54㎞ 해역’이라는 식으로 두루뭉술하게 발표하면 정작 대피해야 할 지역의 주민들에게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최성규 동해시청 안전과장은 “언론 등을 통해 동해시 지진으로 보도돼 시민들의 민원이 급증하고 동해시의 이미지 훼손에 따른 유·무형의 손실이 우려된다. 기상청이 현재의 기준을 고수하는 것은 오랜 관행을 그대로 따르는 것으로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해역은 육상과 달리 관할 구역이 명확하지 않아 현재는 가장 가까운 시·군청을 기준으로 발표하고 있다. 동해시의 건의는 내부적으로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