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상사고속 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29일 오전 고성군 주민들이 군청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고성군이 마련한 비상수송버스를 타고 있다. 고성군청 제공
동해안 산불이 발생한 4개 시·군을 운행하는 시내·시외버스 업체가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 속초시·고성군 등 해당 시·군은 별도의 수송 대책을 마련하는 등 주민 불편 최소화에 나섰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강원도지역버스노동조합은 강릉·동해·속초·고성 등 동해안 4개 시·군에서 시내·시외버스를 운행 중인 동해상사고속 노조가 이날 새벽 6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번에 산불이 발생한 고성·속초와 강릉·동해지역 77개 노선 129대에 이르는 시내·시외버스 운행이 전면 중단됐다. 이번 파업으로 시외버스 노선은 강원도내 20%, 수도권 73%가, 시내 노선은 고성 100%, 속초 50%, 강릉 23%, 동해 50%가 영향을 받게 됐다.
노사 갈등의 핵심은 임금 인상 문제다. 노사는 지난달부터 임금 인상 문제 등을 놓고 협상을 벌였다. 노사는 지금까지 4차례의 조정회의와 2차례의 사후조정을 거쳤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해당 시·군도 별도의 수송 대책을 마련하는 등 비상이 걸렸다. 강원도는 교통과에 상황실을 마련하고 파업이 끝날 때까지 4대의 전세버스를 투입하기로 했다. 강릉시는 7개 노선에 8대의 전세버스와 시청 관용버스 1대를 투입할 계획이다. 또 파업이 끝날 때까지 택시 3부제를 일시 해제하기로 했다. 동해시도 전세버스 2대와 관용차량 1대, 속초시는 전세버스 6대, 관용버스 1대, 고성군은 전세버스 11대와 희망택시 등을 투입해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면서 평소 버스를 이용하던 직장인과 학생들은 아침부터 불편을 겪었다. 또 최근 택시비까지 오른 상황에서 서민의 발인 버스까지 운행을 멈추자 동해상사와 시·군에는 항의 전화가 이어졌다. 홍효기 동해시청 안전도시국장은 “이번 버스 파업으로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어야 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 파업이 장기화하면 전세버스를 추가로 투입하는 등 시민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