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시와 경북 경주시는 지난달 15일 부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함께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이선호 울주군수, 송철호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 강길부 국회의원, 정재훈 한수원 사장,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울산시 제공
원자력발전소(원전) 해체산업 육성을 위한 공동세미나가 부산과 울산에서 잇따라 열린다. 부산·울산은 최근 원전 해체산업 육성과 관련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예정지로 정해진 곳이다.
부산시와 부산상공회의소는 7일 오후 2시 부산상의 국제회의장에서 ‘원전해체산업 육성 제1차 부산·울산 공동세미나’를 연다. 이어 14일 오후 1시30분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 경동홀에서 제2차 공동세미나가 열린다. 공동세미나에는 부산·울산시와 두 지역 상공회의소·테크노파크·관련 기업 등 산·학·연 관계자·전문가 등 70여명이 참석해, 원전해체 기술현황을 공유하고 원전 해체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7일 부산 세미나에선 산업통상자원부 원전환경과 담당사무관이 ‘원전해체연구소 기능과 역할 소개 및 육성계획’을, 안석영 부산대 교수가 ‘고리1호기 해체 이후 재이용 시나리오’를 발표한다. 또 이경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해체기술팀장이 ‘고리1호기 해체 대비 원전해체 기술개발 현황 및 향후과제’를, 손희동 두산중공업 부장이 ‘원전해체산업에서 중소기업의 역할 및 해체사업 진출 때 준비해야 할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3차 경제활력 대책회의에서 ‘원전 해체산업 육성전략(안)’을 확정해 발표하면서 원전 밀집 지역인 부산·울산과 경북 경주에 2021년 하반기까지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해 해체 기술을 키워나갈 계획을 밝혔다. 이 가운데 부산·울산에는 원전해체연구소가, 경주에는 중수로해체기술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들 자치단체는 앞서 지난달 15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한수원과 함께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