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노선 도시철도 건설계획이 반영된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노선안. 경기도 제공
경기도를 하나로 이어주는 총연장 105.2㎞ 길이의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수립됐다.
경기도는 2025년 마무리를 목표로 9개 노선 도시철도 건설계획을 담은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지난 10일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아, 이번 주 중 고시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9개 노선은 5년마다 타당성을 재검토하도록 한 도시철도법에 따라 2013년 확정된 도시철도 구축계획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승인된 노선은 타당성 재검토를 통해 다시 선정한 5개 노선과 신규 검토 4개 노선으로, 예산 3조5339억원이 투입된다. 다시 선정한 5개 노선은 △동탄도시철도 △수원1호선 △성남1호선 △성남2호선 △용인선 △광교연장선이다. 신규 검토 노선으로 △8호선 판교연장 △오이도연결선 △송내~부천선 △스마트허브노선이 포함됐다.
애초 지난 2013년도 노선 중 동탄1.2호선은 동탄도시철도로 통합됐고, 광명시흥선 및 파주선은 편익비용(B/C)이 0.7이하로, 평택안성선은 해당 자치단체와 미협의로 선정되지 못했다. 도시철도 구축계획은 도시철도법상 5년에 한 번씩 검토 뒤 재추진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예비타당성 편익비용이 0.7 이상이면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9개 노선 중 8호선 판교연장선(중량전철)과 용인선 광교연장선(선형 유도전동기·LIM)을 제외한 나머지는 트램(노면전차)으로 계획됐다. 중량전철은 일반적인 지하철을 지칭하며, 선형 유도전동기는 차량과 가이드웨이 사이 전자력을 이용해 주행하는 시스템이다.
각 노선은 기본계획 수립, 타당성조사, 사업계획 등 단계적 절차를 거쳐 해당 지자체 실정에 맞게 추진된다. 성남2호선(서판교~판교지구, 정자역)의 경우 현재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심사 중이며, 타당성이 확보될 경우 경기도 9개 노선 중 가장 먼저 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거점간 고속교통, 편리한 연계 환승, 쾌적한 녹색 교통, 도민 중심의 복지교통의 4개 비전을 기반으로 도시철도망 계획을 수립했다”며 “도내 도시철도 사각지대 해소와 도시교통 발전을 통해 도내 각 지역이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