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운동과 함께하는 시민행동, 전국언론노조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2018년 4월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장자연 리스트’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광주교사노조가 조선일보가 주는 ‘올해의 스승상’ 가산점을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광주교사노조는 26일 성명을 통해 “조선일보가 주는 ‘올해의 스승상’을 받은 교원에게 교육부가 승진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다. 경찰에게 주는 청룡봉사상의 가산점이 반발을 사고 있는 만큼 교원한테 주는 이 상의 가산점을 광주부터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이 상의 운영 실태를 공개하고, 대상을 추천하지 말라고 광주시교육청에 요구했다. 또 가산점을 폐지하는 안건을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에 상정하라고 바랐다.
노조는 “민간 신문사의 상을 받은 교원에게 가산점을 주는 것은 언론이 인사에 개입하도록 허용하는 꼴이다. 교육부가 대책을 내놓기 전이라도 시교육청이 할 수 있는 조처를 시행하라”고 밝혔다. 노조는 “고등학생 생활기록부에 교외 수상실적을 쓰지 않는 것은 대학입시의 공정성을 높이려 하기 때문이다. 대통령상을 받아도 0.001점도 없는 가산점을 이 상에는 1.5점이나 부여하는 것이 공정한지 따져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올해의 스승상 뿐 아니라 한국교총에서 운영하는 연구대회 가산점도 문제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다른 민간 언론사나 특정 교원단체의 시상 실태를 엄밀하게 조사하겠다”고 했다. 박삼원 광주교사노조 위원장은 “20여년 동안 이어진 관행에 문제가 제기됐다. 교원의 반응을 면밀하게 들어보고, 이참에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시교육청은 “이 상의 가산점은 교육부의 ‘연구대회 관리에 관한 훈령’을 근거로 부여한다. 광주지역에선 2013년 1명이 받았을 뿐 최근에는 수상자가 없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와 방일영문화재단, 교육부는 지난 2002년 ‘올해의 스승: 교육발전연구실천대회’를 공동으로 제정해 해마다 교원 10여명한테 상을 줘왔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