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연안부두에 정박한 선박에 ‘물양장 매립 반대’ 현수막이 내걸렸다.
인천지역 어민들이 중구 연안부두 내 소형선박 접안시설인 물양장 매립에 반대하며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서해5도와 소래포구 등 25개 어업 관련 단체는 28일 오전 남항부두와 연안부두 등에 정박한 150척의 어선에 물양장 반대 현수막을 거는 등 집행 행동에 들어갔다. 이들은 이날 대규모 해상 시위를 계획했다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인 점을 고려해 해상 시위는 잠정 연기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어민들과 물양장 입주업체들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해양수산부,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항만공사에 3차례 진정서를 보내 물양장 매립 반대 의견을 제출했다”며 “1200명이 넘는 어민, 시민들이 반대 서명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주민의 삶과 생계에 밀접한 현안은 주민수용성이 최우선인데, 인천항만공사는 지난해부터 지금까지 단 한 차례의 공식적인 설명회, 간담회를 개최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최준욱 사장이 직접 대화에 나서길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인천항만공사는 1973년 준공된 연안부두 물양장이 2019년 정밀점검에서 ‘C등급’을 받자 2023년까지 일대 1만7000㎡를 매립하고 외곽에 120m 길이의 물양장을 세우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공사는 물양장을 보강해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시설이 추가로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며 매립하고 외곽에 새로 만들기로 했다.
이에 어민들은 물양장이 매립될 경우 접안시설이 기존보다 37.7%가량 축소돼 큰 혼잡이 빚어지고, 기상악화 때 대피 부두의 기능도 사라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물양장의 안전 등급 C등급은 보수·보강이 필요한 수준으로, 245억원에 달하는 매립비용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80억원으로 보수해 사용하면 된다고 맞서고 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사진 인천평화복지연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