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17일 인천 옹진군 연평도에서 연평도등대 재점등식을 열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남북관계가 교착상태에 놓인 가운데 ‘남북 평화의 상징’의 하나로 추진됐던 서해 최북단 ‘백령도 등대’ 재건립(재점등) 사업도 백지화 등을 포함해 원점에서 재검토된다.
11일 해양수산부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해수부는 지난해 모두 4차례에 걸쳐 인천 옹진군 ‘백령도 등대 건립 사업(재점등) 설계 용역’ 공모를 진행했지만, 참여 업체가 없거나 자격 요건 미달로 유찰됐다. 해수부는 현재 공모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설계 용역비 2억2600만원을 모두 불용처리했다. 육지에서 떨어진 섬에서 이뤄지는 열악한 작업 여건과 낮은 용역비 등으로 입찰 업체를 찾지 못했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해수부는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남북 공동어로구역이 추진되고, 서해 5도 야간 조업이 시행되는 등 주변 조업여건이 변화하자 연평도와 백령도에 있는 등대 재점등을 추진했다. 2019년 5월17일 연평도등대를 보수해 재점등한 뒤, 백령도등대도 50억원을 들여 2021년 재점등을 목표로 건립 사업을 준비했다.
1963년 설치된 백령도 등대는 등대 불빛이 간첩의 해상 침투를 쉽게 할 수 있다는 당시 정부의 지적에 따라 1974년 5월 운영이 중단됐다. 시설이 낡은 기존 등대는 허물고 그 자리에 새로 짓기로 했지만, 마땅한 설계 업체를 찾지 못해 무산됐다.
해수부는 백령도 등대 건립 사업 백지화를 포함해 원점에서 사업을 재검토 중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백령도 등대 건립 사업이 안전과 관련한 시급한 사안은 아니어서 일단 예산을 불용처리하고, 내년도 예산에도 반영하지 않았다”며 “향후 관련 기관과 협의해 사업을 백지화할지, 다른 방식으로 진행할지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