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총학생회, 총동창회, 교수회, 직원노동조합은 23일 교내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일반재정 지원 대상 대학에서 인하대를 제외한 교육부를 규탄했다. 인하대 제공
“교육부의 자율역량강화(ACE+)사업이 진행된 수도권 14개 대학 중 인하대가 1위인데, 일반재정 지원 대상에 선정되지 않은 것을 납득할 수 없다.”
인하대학교가 정부의 일반재정 지원 대상에서 탈락한 것에 관해 반발하고 나섰다.
인하대총학생회, 총동창회, 교수회, 직원노동조합은 23일 교내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3년 동안 등록금을 동결해 대학을 파탄 상태에 이르도록 해놓고, 재정을 차등 지원하는 시스템을 통해 대학을 길들이기 하는 교육부의 폭력적 행태를 규탄한다”며 “교육부는 인하대에 대한 낙인찍기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승배 인하대 교수회 의장은 “학생 충원율과 졸업생 취업률을 진단 지표로 삼는 ‘교육성과’에서 만점을 받은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부분’이 어떻게 낙제에 해당하는 진단을 받을 수 있는가”라고 반문한 뒤 “이런 의문을 해소하고 이번 기본역량 진단의 공정성을 확인시켜주는 차원에서 평가 자료와 기준의 전면 공개를 교육부에 요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인하대는 지난 17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1년 대학기본역량 진단’에서 87점(100점 만점기준)을 받아 일반재정지원 대상에서 탈락했다. 학교 쪽은 심사위원의 주관적 평가로 이뤄지는 정성평가 중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부분’에서 67점(100점 만점기준)을 받은 영향이 탈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인하대는 지난 20일 교육부에 재평가해 달라며 이의를 신청한 상태다.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인하대는 3년간 150억원가량의 정부 재정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인하대 관계자는 “교육부가 재정지원 대상에서 미선정된 대학에 평가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이의신청을 하려면 평가 결과를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 교육부에서 이를 공개하지 않아 깜깜이 이의신청이 돼 버렸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