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 분당구에 있는 화천대유자산관리 사무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경찰의 성남 대장동 개발 의혹 수사가 난항을 겪고 있다. 자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핵심 인사들 계좌추적 영장이 검찰 단계에서 제동이 걸렸으며, 이한성 천화동인1호 대표도 6일 경찰 출석을 미루고 검찰로 향했다.
6일 경기남부경찰청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출석하기로 한 이한성 천화동인1호 대표가 경찰에 불출석을 통보했다. 천화동인1호는 대장동 개발사업의 자산관리회사인 화천대유자산관리가 100% 지분을 소유한 관계사로, 대장동 개발사업으로 1208억원을 배당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이날 경찰 대신 검찰 소환 조사에 출석했다. 이 대표 소환은 경찰에서 먼저 일정을 잡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 대표뿐만 아니라 자금 흐름 수사에 필요한 천화동인5호 소유주 정영학 회계사 등 핵심 인물 소환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경찰이 금융정보분석원(FIU) 자료 등을 근거로 신청한 화천대유와 그 관계사 등 계좌 압수수색 영장도 수원지검이 보완수사를 요구해 제동이 걸렸다. 검찰은 영장이 발부될 만큼 범죄 혐의를 증명할 증거나 정황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금흐름 수사와 핵심 관계자 소환 등이 무산되며, 경찰 내부에선 답답하다는 반응이다. 서울중앙지검과 경기남부경찰청이 각각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압수수색 등에서 검찰에 선수를 빼앗기고 뒷북 수사조차 지지부진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수사 중첩 우려와 관련해 검찰과 경찰 모두 표면적으로는 ‘중첩되는 부분이 있으면, 협의하면 된다’고 밝혔지만, 이와 관련한 구체적 진전은 없는 상태다.
경찰 수사팀 관계자는 “주요 인물 소환조사 일정은 검찰과 조율한 부분이고, 조만간 다시 일정을 잡고 있다”며 “압수수색 영장 보완 요구는 검토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