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4명은 폐의약품을 버리는 방법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의약품은 현행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폐농약, 수은 함유 폐기물 등과 함께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분류된다. 일반 쓰레기로 땅에 매립되거나 하수구에 버려지면 토양·수질 오염을 일으키고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지난 11~12일 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폐의약품 처리’ 관련 여론조사를 한 결과, 폐의약품을 버리는 방법에 대해 응답자의 40%가 ‘모르고 있다’고 답했다고 24일 밝혔다. 연령대별 모른다는 응답 비율은 50대가 49%로 가장 많고 30대가 32%로 가장 적게 나왔다.
폐의약품 처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는 약국 제출 또는 약국 수거함(34%), 보건소 등 공공시설 수거함(6%) 등 전체 응답자의 40%만 제대로 버리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 외 처리방법으로는 일반 쓰레기 종량제봉투(39%), 처분하지 않고 집에 보관(12%), 가정 내 싱크대·변기·하수관(5%) 등을 들었다.
현재 일선 시·군은 폐의약품을 수거해 소각 처리할 수 있도록 약국과 공동주택, 보건소, 행정복지센터 등에 폐의약품 수거함을 설치해두고 있다. 그러나 폐의약품 처리가 잘 안 되는 원인으로 응답자의 84%가 주거지 주변에서 폐의약품 수거함을 본 경험이 없다고 답할 정도로, 폐의약품 수거함 접근성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했다.
또한, 응답자의 71%는 폐의약품 환경 영향의 심각성에 공감하고 있으며, 83%는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폐의약품 수거함을 사용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리얼미터에 의뢰해 자동응답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신뢰 수준 95%에서 ±3.1%포인트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