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6년까지 ‘경기도 사회주택’ 8550가구가 공급된다. 사회주택이란 공공이 보유한 땅을 활용해 민간 사업자가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로 제공하는 공공주택의 일종이다. 사회적 경제주체가 건축물을 소유해 소득에 상관없이 무주택자 누구에게나 공급하는 새로운 형태의 장기 임대주택이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의 ‘2026 경기도 사회주택 기본계획’을 확정해 14일 발표했다. 이번 경기도의 사회주택 기본계획에는 도가 추진하는 것 이외에도 한국토지주택공사(엘에이치·LH), 시·군 지방자치단체 등이 도내에서 시행하는 물량이 모두 포함됐다.
기본계획을 보면, 경기도 사회주택은 △새도시 마을형(신규택지에 건축하는 대규모 아파트형) △지역공동체형(기존 공동체를 중심으로 공모·신청) △공공주도형(공공임대주택 활용) △창의 혁신형(사회적 경제주체의 제안을 선정해 공급) 등 4개의 공급모델을 설계했다. 핵심 비전은 ‘경기도형 사회주택 공급으로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주거문화 확산 선도’로 설정했다고 도는 설명했다.
추진 전략으로는 주거복지 정책에 부합, 사회주택 허브 구축과 지역 공동체 활용, 공급 확대를 위한 창의적 접근, 사회주택 공급 생태계 구축 등 4가지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주택 지역 허브를 구축해 지역 공동체의 사업 참여를 강화하고, 공급 확대를 위해 사회적 금융 연계 등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적용할 방침이다. 또한, 사회주택지원센터(가칭)를 설립하거나 사회주택 공급·운영 지원 통합플랫폼을 조성할 예정이다.
홍지선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지속적인 사회주택 활성화를 위해 이번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해마다 경기도 사회주택 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경기도민을 위한 보편적 주거복지 실현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사회주택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