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가 2016년 2월 운행을 시작한 자기부상철도 폐업을 신청했다. 이 철도는 인천공항과 용유역 사이 6.1㎞를 공중에 떠서 달리는 미래 교통수단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하다. 그러나 노조 쪽 노동자 인력 구조조정의 전초 단계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4일 인천공항공사의 말을 종합하면, 공사는 지난달 11일 인천시에 자기부상철도 도시철도 운송사업 폐업 허가 신청을 냈다. 6개 역사를 둔 이 철도는 전기로 발생한 자기 반발력을 이용해 바퀴없이 선도 위를 떠서 달린다. 사업비 4천억원이 투입됐다. 국토부의 자기부상철도 기술 시범사업으로 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가 선정돼 추진했던 이 사업은 관광 효과 등을 기대하고, 무료로 운영해 왔다.
그러나 하루 평균 이용객이 기대치(2만명)의 20%에 불과한 4천명(코로나19 이전 2019년 기준)대에 불과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엔 하루 평균 300명 수준으로 떨어졌다. 해마다 80억원가량의 운영비가 투입되고도 기대에 크게 못 미치자,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철도사업 폐업 등 개선 방안을 강구하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인천공항공사는 현행 도시철도법에 따른 운송사업을 끝내고, 궤도운송법 적용을 받는 궤도시설로의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도시철도법 적용을 받으면 운행시간과 횟수, 노선, 안전관리, 적정 인력 유지 등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 하지만, 궤도시설은 운행 횟수 등을 여건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안전 기준도 도시철도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다.
이에 전국공공운수노조 자기부상철도지부장(지부장 박진)는 “궤도시설로 전환은 중정비(3년마다 열차를 모두 해체해 안전 점검을 하는 방식) 대상 미적용 등 안전관리 소홀은 물론, 운영방식 변경에 따라 현장 노동자 구조조정과 보직변경, 정리해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박 회장은 “공사의 조처는 똑같은 시설과 열차를 운행하는데 법만 달리 적용해 임의대로 철도를 운행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공사 관계자는 “애초 철도사업 자체 폐업을 검토했다가 국토부와 협의해 있는 철도시설을 활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