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지난해 8월 발표한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에 반영돼 4만 가구 규모의 주택 건설이 추진되는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위치도.
정부의 제3차 신규공공택지 계획에 반영돼 4만 가구 규모의 새도시 건설이 추진되는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내 시민사회·종교·환경단체들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훼손을 막기 위해 뭉쳤다. 해당 공공주택지구는 전체 개발면적의 93.3%가 개발제한구역 묶여 있는 곳이다.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 등 22개 단체는 20일 ‘의왕·군포·안산 그린벨트 지키기 네트워크’(가칭·이하 그린벨트 네트워크)를 발족했다. 그린벨트 네트워크는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지정에 따른 대규모 녹지 훼손을 막기 위해 지역 종교·환경·시민단체와 시민들의 자발적인 모임으로 만든 단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8월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에 의왕·군포·안산지역을 포함했다.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는 의왕시 초평동·월암동·삼동, 군포시 도마교동·부곡동·대야미동,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사사동 일대 여의도 면적의 2배에 이르는 586만㎡ 면적에 4만790가구 규모다. 전체 개발면적의 93.3%가 개발제한구역이다.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지정에 따른 대규모 녹지 훼손을 막기 위해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 등 22개 단체가 20일 ‘의왕·군포·안산 그린벨트 지키기 네트워크’를 발족했다.
그린벨트 네트워크는 이날 발족식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이 주거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졸속으로 추진됐고,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개발제한구역 녹지와 농경지의 가치를 무시한 토건사업이라는 점에서 개발제한구역 개발과 훼손은 소탐대실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이라는 생태 환경적 가치를 무시한 개발계획은 철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명균 그린벨트 네트워크 공동대표는 “택지개발지역은 수도권 남부 지역의 생태축 역할을 해온 중요한 곳”이라며 “앞으로 개발제한구역을 지키기 위해 시민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사진/의왕·군포·안산 그린벨트 지키기 네트워크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