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로 성장하는 탄소중립 1번지 수원’ 사업계획 공간 배치도. 수원시 제공
경기도 수원시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탄소중립 그린도시 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국비 240억원을 확보했다고 26일 밝혔다.
환경부가 올해 처음으로 추진하는 탄소중립 그린도시 사업은 ‘탄소중립 사회’ 전환에 발맞춰 지역이 중심이 돼 탄소중립을 이행하고, 탄소중립이 확산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사업은 올해부터 5년 동안 추진되고, 국비 240억원·도비 48억원·시비 112억원 등 모두 400억원이 투입된다.
시가 제안한 ‘그린경제로 성장하는 탄소중립 1번지 수원’은 행정타운·공동주택·상업지구·산업단지 등이 모여있는 수인분당선 고색역을 중심으로 반경 2㎞를 대상으로, 7개 전략사업으로 이뤄져 있다. 2026년까지 온실가스를 3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먼저 공공기관 10여 개가 모여있는 행정타운에 ‘플러스 에너지 시범타운’을 조성한다. ‘탄소중립 그린도시 스마트센터’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그린리모델링’ ‘옥상, 주차장 태양광 발전’ ‘전기차 전용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충전타워’ 등을 설치한다.
또 상가·업무빌딩, 공동·단독주택에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과 미니태양광,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태양광에너지 발전설비 등을 지원하는 에너지 자립마을 사업도 편다. ‘그린수소’ 생산, 태양광 전기차 충전기 설치 등으로 ‘그린수소 중심의 탄소중립 모빌리티’를 실현하고, 탄소중립가든·탄소상쇄숲·학교숲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쿨루프(시원한 건물 지붕), 쿨페이브먼트(시원한 통학로), 스마트 정류장, 아파트 방음벽 벽면 녹화 등을 통한 ‘도심 온도 낮추기, 기후쉼터 마련’ 사업도 진행한다.
시는 시민사회와 협력 체계를 구축해 사업을 추진하면서 시민과 기업, 지자체가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탄소중립 그린도시 사업은 시민들의 생활 공간에서 시민과 함께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기업의 기술 발전이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