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 인근에 추모 메시지와 꽃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뒤 인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서울 기초자치단체들이 다중 밀집으로 인한 인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대책을 내놓고 있다. 월드컵·성탄절·연말연시 등 인파가 몰리는 행사나 일정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서초구는 오는 25일까지 주거개선과 등 6개 부서와 서초소방서로 이뤄진 합동 점검반을 꾸려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강남역과 사당역 일대 보행도로에 불법 증축한 건축물을 집중 단속한다고 20일 밝혔다.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골목 옆 해밀톤호텔 불법 증축이 참사를 더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관련 점검에 나선 것이다.
서초구와 성동구는 위험의 크기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고 단계별 대응 지침을 만들었다. 서초구는 ‘군중밀집 안전사고 대응 매뉴얼’을 마련해 비상 단계를 주의·경계·심각 세 단계로 나눴다. 주의 단계에서는 폐회로텔레비전(CCTV) 모니터링과 현장순찰을 실시하고, 경계 단계에서는 구청 직원이 현장으로 나가 밀집 인파의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심각 단계에서는 경찰과 소방에 상황을 전달한 뒤 재난문자를 발송하는 식이다. 성동구는 ‘인구밀집지역 위기관리 대응계획’을 수립해 단위 면적당 밀집 인원으로 단계를 나눴다. 평시(㎡당 3명 이하)·주의(㎡당 4명)·경계(㎡당 5명)·심각(㎡당 6명 이상) 4단계가 그것이다.
앞서 성북·강남·동대문·광진구 등은 민관 합동 점검반을 꾸려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7일부터 시험을 끝낸 수험생들이 한꺼번에 몰릴 위험이 있는 거리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인파가 몰리는 곳은 질서유지를 안내하고, 폐회로텔레비전 모니터링도 강화했다. 앞서 명동이 있는 중구와 홍대 입구 등을 관할하는 마포구는 성탄절과 연말연시에 대비한 다중 인파 관련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손지민 기자 sj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