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천시 10개 광역동 지도. 부천시 제공
2016년 전국 처음으로 3개 구청을 폐지한 경기도 부천시가, 다음 달 1일부터 36개 동을 10개 광역동으로 통합해 운영한다. 동별로 중복된 기능을 줄이고 남는 인력을 보건, 복지 등에 투입해 현장행정 수요에 대응하도록 가기 위해서다.
부천시는 7월1일부터 현 행정복지센터 권역 내 2~4개의 동 주민센터를 1개의 광역동으로 전환한다고 24일 밝혔다. 10개 광역동(행정복지센터)은 복지, 인허가 등 235개의 시청 사무를 대폭 이관해 ‘작은 구청’의 기능을 하게 된다. 시청에서 이관한 사무를 포함해 주민자치, 도시재생 활성화, 인허가 등록·신고, 청소, 환경, 보안등 관리, 도로 보수 등 주민밀착형 업무를 수행한다.
공장 지역을 관할하는 광역동에서는 공장등록, 기업애로 관리 업무를, 농업지역이 포함된 광역동에서는 농업 자재 업무, 벼 병해충 방제, 농업인 확인업무를 수행하는 등 주거·상업·공업·농업 등 지역 특성에 맞는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노인 분야 선도 도시로서 10개 광역동을 중심으로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을 추진한다. 행정복지센터 내 설치한 ‘100세 건강실’에서 만성질환·대사증후군 관리, 치매 검진 및 우울증 검사, 의료비 지원, 금연 사업 등 원스톱 건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행정기구 개편에 따른 시민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동 주민센터는 주민지원센터로 전환해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 인감증명서 발급, 어디서나 민원 등 제증명 발급과 복지 민원상담, 의료급여관리, 보훈 등의 복지서비스를 유지한다. 다만, 전입신고, 인감 신규 및 변경신고, 대형폐기물 접수는 관할 광역동에서 처리한다.
시는 광역동 체계 전환으로 연간 27억원의 인력 감축 효과와 기존 동 청사를 주민 편의 공간으로 활용해 1638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시는 지난 2016년 7월 전국 최초로 3개 구청을 폐지하고, 동의 기능을 강화해 10개 행정복지센터와 26개 일반동 체계로 전환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