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파주지역 환경단체와 어촌계 어민들이 10일 파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건설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파주환경운동연합 제공
경기도 파주지역 환경단체와 어촌계 어민들이 10일 파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민통선(민간인 통제구역) 개발의 신호탄인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추진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파주환경운동연합은 회견문에서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노선은 임진강변 전통마을인 낙하리 마을을 둘로 가르고, 평화대교 건설로 임진강의 수생태계가 파괴된다. 또 비무장지대(DMZ)와 민간인 통제구역을 생태적으로 완전히 고립시킨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추후 인터체인지만 설치하면 100만 평에 이르는 장단반도를 개발할 수 있다”며 “실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에 장단반도를 ‘통일경제특구(제2의 개성공단)’ 예정지이며 ‘장단반도 부지 이용에 용이’한 노선이라고 적고 있다. 우리가 이 도로가 민통선을 개발하기 위한 첫 출발이라고 보는 까닭”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이어 “이 도로는 문산 홍수예방터, 친환경 학교급식 쌀생산지, 두루미 등 47종의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없애는 노선”이라며 “전 구간이 지뢰지역이어서 조사가 불가능한 지역을 이명박 정부가 ‘4대강사업’을 밀어붙이듯 디엠제트 일원 개발을 밀어붙이려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파주시 어촌계 어민들도 회견문을 내어 “임진강 하구 중립구역 수역 인근에 짓겠다는 평화대교는 임진강에 사는 물고기와 어민들에게는 결코 평화로울 수 없는 다리다. 강에는 다리 교각 하나만 생겨도 유속이 느려져 퇴적량이 늘어나고 강폭이 좁아져 황복과 장어치어가 올라오는데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장어치어의 경우 어린 물고기라 더욱 예민해 공사와 차량통행시 진동이나, 시멘트 독성에도 영향을 받아 접근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이경구 파주어촌계장은 “최근 2~3년 간 황복과 장어치어 등 수확이 급격하게 줄고 있는데 임진강 수생태계의 변화 원인을 조사하고 대책을 내놓기는커녕 다리를 먼저 건설하겠다는 것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파주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 뒤 문산-도라산간 고속도로 전략환경평가(초안) 반대 주민의견서를 파주시에 제출했다. 노현기 파주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디엠제트의 가치를 보전하기 위해서도 지금은 민간인통제구역부터 생태조사, 문화재 지표조사 등을 시작해야 할 때”라며 “디엠제트와 민간인통제구역의 이용은 앞으로 평화시대를 살아갈 미래세대의 몫으로 남겨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서울-문산간 민자고속도로’ 엘지산단 나들목에서 임진강을 다리(가칭 평화대교)로 통과해 디엠제트 남방한계선을 따라 도라산역까지 가는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건설계획을 세우고 행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달 말까지 사업시행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