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버스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28일부터 버스요금을 올리는 것에 반대하는 경기도민 청원이 9천여명에 육박하자 도민 피해를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적극 해명에 나섰다.
도는 버스요금의 인상을 하루 앞둔 27일 ‘버스요금 인상, 도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입니다’는 자료를 내고 버스요금의 불가피성을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나섰다. 버스요금 인상을 놓고 도민 청원이 제기되는 등 반발 여론을 의식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버스요금 인상이 알려지자 경기도민 청원 게시판에는 지난달 30일 경기도 버스요금 인상 반대 청원이 시작돼 이날까지 8881명이 서명에 참여했다.
요금 인상 반대의 주된 이유는 ‘버스 배차 간격도 못 맞추는가 하면 난폭운전과 운전기사의 불친절 등 서비스 질 개선이 안 됐다’는 이유가 가장 많았고 ‘(서울 인천과 달리)왜 경기도만 버스요금을 인상하냐’, ‘요금 인상 폭이 너무 높다’는 항의의 목소리들도 이어졌다.
버스 서비스의 낮은 질과 관련해 경기도는 “올해 9월부터 2022년까지 ①취약층 교통비 부담 완화 ②출퇴근 편의 증진 ③민원 감소 ④안전성 향상 ⑤쾌적성·편의성 증진 5대 분야 20개 사업을 추진하는 등 서비스 질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요금을 올리지 않는 서울·인천시와의 형평성을 놓고 경기도는“서울·인천은 이미 준공영제를 도입해 주 52시간제를 시행 중으로 인상요인이 없는 반면, 경기도 시내버스는 민영제로 운영돼 인력 충원에 따른 비용을 업체들이 부담하는 구조”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15년 이후 4년 만의 요금 인상인 데다 재원이 제때 확보되지 않으면 버스 운행이 22.8% 감축되고 노사갈등과 파업 등으로 이어져 도민들에게 피해가 돌아옴에 따라 요금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덧붙였다.
지방자치단체의 과도한 재정 투입의 원인으로 논란이 되어온 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지난 5월14일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이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 인상 대신 광역버스를 국가 사무로 전환해 준공영제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요금 인상에 따른 도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해 도민 안전과 서비스 질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주52시간제 도입에 따른 버스업체의 대규모 운행 감축 등으로 도민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교통카드 결제 기준으로 일반형 200원, 좌석형·직행좌석형 400원, 경기순환형 450원씩을 인상해 28일 첫차부터 적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