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양주시민 30여명이 30일 양주시청 앞에서 SRF 열병합발전소 건립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양주SRF발전소 설치 반대 시민모임 제공
경기도 양주와 의정부, 구리시 등 경기북부 지방정부들이 민간투자방식으로 쓰레기 소각시설 건립을 추진 중인 가운데, 해당 지역 주민들이 “환경피해가 우려된다”며 집단 반발에 나서 진통을 겪고 있다.
30일 각 지방정부와 주민대책위의 설명을 들어보면, 양주시는 생활 쓰레기를 고형연료(SRF)로 가공한 뒤 소각해 전기를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소 2기를 양주시 남면에 건립할 예정이다. 하루 300t의 고형연료를 태워 10.5㎿를 생산할 계획인 이 발전소들은 민간업체 2곳이 2016년과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각각 건립 허가를 받았으며, 양주시가 지난 9월 건축 허가를 내줬다.
그러나 이에 반대하는 양주시민들은 30일 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어 “다른 지역 쓰레기까지 반입·소각하는 에스아르에프(SRF) 발전소는 초미세먼지와 악취,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주범이 될 것이다. 시민의 건강과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막겠다”고 밝혔다. 발전소 설치 반대 시민모임은 이어 “오직 민간사업자들의 돈벌이를 위해 환경오염과 시민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에스아르에프 발전소는 결코 들어와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쓰레기 소각장을 시 외곽 자일동으로 옮겨 하루 처리용량 220t 규모로 확장하려던 의정부시의 계획은 한강유역환경청의 환경영향평가서 보완 요구로 제동이 걸렸다.
주민들은 밀어붙이기식 사업의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자일동소각장반대 주민대책위는 지난 27일 성명을 내어 “11월 환경부에 이어 12월 국민권익위에서도 의정부시 소각장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인 광릉숲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조사·검토하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입지 선정할 것을 시정 권고했다. 의정부시는 일방적인 자일동 소각장 이전계획을 백지화하고 주민과 소통을 통한 친환경 소각장 건설에 나서라”고 주장했다.
앞서 한강유역환경청은 지난달 26일 의정부시 자일동 쓰레기 소각장 예정부지 5㎞ 안 지역과 광릉숲의 환경영향 및 동·식물 현황에 대한 생물성 조사를 1년간 실시할 것과, 주변 지역 대기질 변화, 220t의 처리용량에 대한 산정 근거 보완 등을 요구했다.
자일동 소각장 예정지와 인근 포천·양주시 주민들은 지난 8월31일 의정부시청 앞에서 자일동 쓰레기 소각장 건립 결사반대 총궐기 대회를 연데 이어, 1만4천여명의 반대 서명을 받아 의정부시와 환경부에 제출한 바 있다.
한편,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옆에 소각로 1기를 증설하는 ‘에코 커뮤니티 사업’을 남양주시와 함께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하는 구리시도 주민 반발로 진통을 겪고 있다. 구리시에는 현재 남양주와 함께 이용하는 하루 200t 처리 규모의 소각로가 있지만, 가동한 지 17년이 지나 낡은 데다 쓰레기양이 늘어 하루 100t 규모를 추가 설치해 음식물 쓰레기까지 함께 처리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2013년 구리·남양주시와 민간업체가 협약을 맺으면서 시작됐다가 전임 시장의 반대로 중단됐다. 시는 새해부터 수도권매립지와 서울 강동구 음식물 처리시설의 운영 방침 변경으로 비용 증가가 우려된다며 사업 재추진에 나섰다.
구리시민대책위는 “설문조사와 토론회에서 반대의견이 훨씬 많았는데 민간자본으로 소각로를 증설하는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 주변에 학교와 아파트가 많아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구리시 관계자는 “협약 파기로 손해배상 소송이 진행되면 비용 측면에서 더 큰 피해가 예상돼 증설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