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마르코 마르투치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장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논의하는 박원순 서울시장. 서울시 제공
서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병 확진자 1명이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가 최대 948억원을 들여 방역에 나서는 등 확산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시는 28일 오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종합대책 3차 회의’를 열어 “발생지 중국의 초동대응이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보이고, 확산속도 등 감안 심각한 상황이 우려되므로 정부와 공조하여 ‘선제적 대응’ 기조로 총력대응이 필요하다”며 대응체계 강화 방안을 내놨다. 이날 오전 9시를 기준으로 서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명, 접촉자 77명, 격리대상자 20명 등이 발생한 것으로 서울시는 파악하고 있다.
서울시는 1차로 마스크, 손세정제, 방역복, 열화상카메라 등을 도입하기 위해 167억원을 투입한다. 시는 조례에 따라, 재난관리기금 최대 948억원을 방역물품 구입에 투입할 수 있다.
시가 갖고 있는 마스크는 모두 7만개로, 시는 28일부터 어르신 등 감염병 취약계층에게 우선 3만5천개, 버스터미널 등 시민들이 많이 모이는 시설에 3만5천개를 나눠주고 있다. 살균제 500개, 물티슈 3500개, 3중수송용기 2500개 등 기타 방역용품도 오는 29일부터 각 자치구별 보건소로 배포된다. 또 서울시내 병원 및 보건소가 보유한 열화상카메라는 모두 99개에도 사용을 요청했다.
시는 대중교통 방역 계획도 세웠다. 시는 서울지하철 모든 역사에 손 소독제 2∼3개씩을 배치하고, 지하철 역사 및 열차에 대한 방역도 하루 2번 실시한다. 버스에도 손 소독제를 배치하고, 공항버스와 시내·마을버스도 방역 청소를 실시한다. 단계적으로 지하철·버스 등에 하루에 마스크 156만개, 손 소독제 1만2247개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취약계층을 위해 독거 어르신 2만9600명을 대상으로 생활지원사 2594명이 감염병 대비 안부 확인 등을 진행하고, 주 2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행동요령을 안내한다. 발열이나 기침 등 이상 증세가 나타나면 보건소에 연결한다. 또 쪽방촌 주민들을 위해 동자동, 영등포 등 쪽방촌에 대한 방역 소독을 실시하고, 주민 순찰조가 일일 건강 여부를 확인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입원 및 자가 격리자에게는 서울시가 물품, 생계비 등 최대 200만원의 서울형긴급복지를 지원한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