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광화문광장 관련 전면보행화를 상정한 예시안. 서울시 제공
광화문광장이 장기적으로 찻길 없는 ‘전면보행광장’으로 거듭난다.
서울시는 61차례에 걸친 시민, 전문가와의 소통 과정을 통해 완성한 ‘광화문광장의 추진방향’을 13일 발표했다. 앞서 새 광화문광장 사업에 대해 행정안전부와 시민사회단체 등이 ‘소통 부족’, ‘졸속 추진’ 등의 문제를 제기하자 시는 지난해 9월 새 광화문광장 설계안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서울시가 정리한 시민소통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시민들은 광화문광장을 최종적으로 전면보행광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지난해 12월 서울시 시민의식 조사 결과를 보면, 전면보행화에 대해 조사 대상 시민 1천명 가운데 70.3%가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감은 17.5%, 무응답 12.2% 등이었다. 토론회에 패널로 참석한 대다수의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도 전면 보행광장을 건의했다.
다만 현실적 문제를 고려하여 전면보행화는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지난해 12월 시민토론단 268명 가운데 82.9%가 ‘전면보행공간 조성을 추진하되 단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는 이러한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광화문광장 전면보행화를 장기 목표로 두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녹색교통진흥지역 정책 효과와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될 때 시민의견 수렴을 통하여 전면보행광장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민들은 단기적으로는 세종문화회관 쪽 찻길만 광장으로 조성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지난해 12월 열린 ‘제2차 시민대토론회’에서는 참석자 268명 가운데 64.9%가 세종문화회관 쪽 도로를 광장으로 만들고, 교보문고 쪽 도로는 남겨두는 ‘서쪽 편측광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앞서 광화문광장의 북쪽의 동·서방향의 축이 되는 사직로를 월대 등이 복원된 역사광장으로 꾸미고, 정부서울청사를 우회하는 유(U)자형의 우회도로를 계획했으나, 이런 방안은 보류하기로했다. 우선 복원하기로 한 경복궁 월대는 문화재청 발굴 조사가 끝난 뒤, 논의를 거쳐, 복원 시기와 방법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광화문광장 북쪽의 동·서방향 축이 되는 사직로의 도로노선은 유지된다.
또 종로구 등 광화문광장 일대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집회·시위로 인해 소음, 교통불편 등을 호소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집시법) 개정을 국회에 건의한다고 밝혔다. ‘오전 0시부터 해뜨기 전까지 옥외 집회 또는 시위를 제한한다’는 내용을 담은 할 수 있는 안이다. 아울러 시는 광장 인근 지역주민의 스트레스, 우울감 등이 다른 지역의 주민보다 약 2배 높게 측정돼, 시가 심리치료 지원하기로 했다.
토론회 등 소통과정에 참여한 전문가들이 광장의 주변지역 뿐만 아니라 북촌·서촌·사직동·종로·시청 등 광화문 일대를 포함하는 종합적 계획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낸 것을 반영해, 시는 올해 ‘광화문일대 종합발전계획’을 세울 계획이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