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경기도 고양시청 출입문에 지역화폐인 ‘고양페이’ 특별이벤트 안내문이 붙어있다.
경기도가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4월부터 발행하기 시작한 ‘경기지역화폐’를 올해 8천억원 발행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경기지역화폐는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발행한 일종의 대안화폐이다.
경기도의 설명을 종합하면, 지역화페는 지난해 발행 목표의 113%에 달하는 5612억원이 발행돼 일반음식점과 슈퍼마켓 등 골목상권을 중심으로 83%가 사용됐다. 이 가운데 주민이 직접 구매해 사용하는 ‘일반발행’은 6~10% 인센티브 지급 등에 힘입어 목표액(1379억원)의 2.4배인 3332억원이 발행됐다. 청년기본소득, 산후조리비, 아동수당 등 복지수당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정책발행’은 2280억원이 발행됐다.
시·군별로는 성남이 941억원 발행돼 가장 많았고, 고양 391억원, 시흥 382억원, 부천 372억원 순이었다. 가평과 동두천, 연천의 발행규모는 각각 24억원, 25억원, 27억원에 그쳤다.
올해의 발행규모는 정책발행 2877억원과, 일반발행 5123억원 등 모두 8천억원으로 지난해 발행 목표(4961억원)보다 61% 늘어난 규모다. 설 명절 기간 10% 특별 인센티브를 지급한 지난달에는 한 달에 1천억원이 팔리기도 했다.
도민들의 반응도 좋은 편이다. 지난해 11월 경기도가 실시한 ‘경기지역화폐 도입 성과 조사’에서 도민의 68%, 지역화폐 가맹점주의 63%가 지역화폐 정책에 대해 ‘잘했다’고 평가했다. 또 응답자의 과반(도민 63%, 가맹점주 51%) 이상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경기도는 올해 지역화폐 활성화를 위해 청년기본소득, 산후조리비 지원 등 기존 정책수당의 신청·사용을 독려하고, 파급효과가 큰 신규 정책수당 발굴 적극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또 모바일 간편결제와 우수가맹점을 확대하고 전문마케터 운영 등을 추진한다.
도는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침체한 골목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각 시·군과 협조해 한시적으로 10% 특별 인센티브를 지급해 골목상권 소비를 유도해 영세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조장석 경기도 소상공인과장은 “침체한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지역화폐를 확대 발행해 소비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