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서울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종합대책회의를 주재하는 박원순 서울시장. 서울시 제공
서울과 대구·경북지역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5명이 한꺼번에 발생하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위기경보 단계를 현행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하자”고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에 건의했다.
박 시장은 19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열린 ‘20차 서울시 코로나19 종합대책회의’에서 “중앙정부와 현재 위기 경보를 심각단계로 격상하고 서울시와 민간의료기관이 총력을 다할 것을 실무적으로 논의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박 시장이 이날 중대본에 위기경보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하자고 건의했으며, 중대본은 이를 듣고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감염병 위기경보는 ‘경계’ 단계로 신종감염병이 지역사회에 전파되거나 전국적으로 확산할 때 ‘심각’ 단계를 발령한다. 앞서 서울 성동구는 이날 오전 자체적으로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 단계로 높이고, 도서관 등 구 산하 공공시설 494곳을 7일동안 폐쇄하기로 했다.
그러나 정부는 위기경보 단계를 현행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하는 데 신중한 태도다. 노홍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총괄책임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위기경보 격상은 환자 발생 양태, 발생자 수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된다”며 “대구의 발생은 방역체계 안에서 접촉자 숫자가 파악된 것이기 때문에 단지 이 숫자만 가지고 위기경보 격상을 논하기엔 빠르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박 시장은 이날 종합대책회의에서 “중소 요양병원 발열감시체계 마련, 입원한 폐렴 환자에 대한 전수조사, 각 병원에 선별진료소 설치는 민간의료기관의 협력이 절대 필요하다”며 “민간의료기관이 겪게 되는 여러가지 비용 지출이나 어려움에 대해서는 서울시가 적극 나서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민간의료기관의 협조를 요청했다.
채윤태 서혜미 기자
chai@hani.co.kr